대학에 가는 AI vs 교과서를 못 읽는 아이들 -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교육 혁명
아라이 노리코 지음, 김정환 옮김, 정지훈 감수 / 해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에 가는 AI vs 교과서를 못 읽는 아이들... 아라이 노리코... 해냄. 2018...
수리 논리학을 전공하고 인공지능 프로젝트 <로봇은 도쿄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가>의 디렉터를 맡고 있다는 저자 아라이 씨. 책 제목에서 언듯 인공지능의 무한 발전 상과 인간 교육의 적나라한 한계를 보여줄 것 같은 느낌을 받았지만, 그렇게 단순하지 않은, 어쩌면 반전의 반전을 선사하는 책이다.
'특이점이 온다' 류의 인공지능이 스스로 스스로를 능가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는 단계가 곧 다가올 것처럼 호들갑 떠는 소리에 해당 분야 전문가의 경험에 바탕한 냉철한 판단이 하나의 반전이었다면(그런 특이점은 당신의 자식세대까지는 올 일은 없다는), 그렇지만 현 수준의 인공지능이 가져올 새로운 산업, 경제 환경 속에서 인공지능이 대체 가능한 수준의 인지 수준, 독해력 수준의 사람들이 처할 불리한 조건은 먼 미래가 아닌 정말 곧 닥쳐올 상황이라는 설명은 좀 많이 들은 이야기이지 싶다가, 그런 현실에서 인공지능 개발, 훈련 과정에서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일본 초-중-고 학생들의 독해력 검증 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확인한 현실은, 뻔한 듯 뻔하지 않다.
책을 다 읽고 책 뒤 표지에 실린 추천글들을 읽다 이건 좀 아닌데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인공지능 개발 이야기이자 우리 교육시스템에 대한 문제제기'라는 이야기는 너무 뻔한 이야기라 넘어가고, 이 책에서 아라이 씨는 'AI와 슬기롭게 '공존'하는 교육 방안을 쉬운 언어로 설명'해 주고 있지 않다. 독해력이 문제인 아이들이 많은데 독해력이 어떻게 길러지는진 잘 모르겠다는 게 아라이 씨의, 수학자로서의 정직한 생각이다. 그리고 아라이 씨는 '강의 형태의 주입식 수업'이 아이들 독해력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생각하지만 '학생 활동 중심 수업'이 그 대안이라 얘기하지 않는다. 학생 활동 중심 수업도 독해력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헛짓이 될 것이라 얘기한다. 그리고 역시 어떻게 독해력이 길러지는지에 대해선 장담하지 못하고, 않는다.
어렴풋이 자신의 프로젝트 참가했던 한 연구자의 사례를 통해 느낀 어떤 가능성의 방향을 조심스레 얘기한다. 그리고 그래서 교육쪽 전문가들과 함께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쉽게 장담하지 않는, 못하는 게 어쩜 이 책의 장점, 매력인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