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개혁을 디자인한다
사토 마나부 지음, 손우정 옮김 / 학이시습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토 마나부... 교육개혁을 디자인하다... 학이시습.2009... 원전 일본 발간 1999...
20년 전 일본의 교육 위기에 대해 진단하고 자신의 개혁을 제안하여 교육분야의 스테디셀러가 되었다고 하는 책...
20년 전 일본 교육 현실이 요즘 우리 교육 현실과 자꾸 겹쳐지는 느낌을 받으며, 그렇다면 일본은 저 현실로부터 얼마나 오늘날 변했을까, 혹 그렇게 할 수 있는 원동력이란 게 있었다면 무엇이었을까 궁금함이 일기도 했다.
그런데 좀더 최근에 쓰여진 사토 교수의 책들에서도 여전히 교육개혁, 학교 개혁의 주장 속에 드러나는 학교 현실, 교육 현실은 여전히 더 개혁을 위한 노력을 요구하는 상황임은 분명한 것 같다.
올해 사토 교수의 책을 네 권째 읽으면서 몇 가지의 그가 계속 던지는 키워드들이 떠 오른다. 정리하면서 읽지 않아서인지 제대로 정리할 수는 없지만.
세 개의 키워드.... 민주성.... 공공성.... 동료성....
그런데 민주성이 무엇인지, 공공성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민주주의 제도라 불리는 것들이 어떤 상황 속에서 등장하여 어떤 과정을 거쳐 변화해 갔는가는 이렇게 저렇게 정리해 볼 수 있겠는데, 공공성이란 게 대체 무엇인지는 정말 모르겠다.
물론 무엇이 민주적이지 않은지, 무엇이 공공적이지 않은지 어떤 상황에 부딪쳤을 땐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
민주적이지 않은 상황들, 공공적이지 않은 상황들을 끊임없이 접할 수밖에 없는 게 우리 현실이기 때문일까.
진보적이라면 당연히 민주주의적이라고 생각했는데... 요즘 평소 진보적이었던 이들이 준전시라며 우리 안의 분열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높일 때면 과연 이것이 민주적인 가치에 맞는다 생각할 지 궁금해진다. 정말 저열한 '토왜'라고 조롱하고픈 인간들, 그런 행태들이 있긴 하지만 그렇기에 내부 분열을 막고 내부의 적을 척결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넘어간다면 그건...
정말 어려운 건 공공성인 것 같다. 어떻게 책 읽고 공부하면 좀 이해할 수 있게 될까.
당장 고민하게 되는 건 우선 동료성이란 것이다. 전문학습공동체라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나 위로부터 제도로 도입되는 이 사업이 어쩐지 현실에 들러붙지 못하고 그냥 또 이 또한 지나가리 구호인 것만 같다. 그렇게 되지 않았으면 좋겠는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