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어른 초등학교
이지훈 지음, 정용환 그림 / 거북이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 후 아이를 낳으면 아무런 지식도 없는 내가 아이를 잘 기를 수 있을까 고민했던 적이 있다.

그때 생각했던 것이 바로 부모가 되는데도 자격증이 필요하다는 생각이었다.

국가에서 미리 교육을 하고 자격을 이수해야만 부모가 될 수 있다면 지금처럼 아이를 학대해서 불행한 아이들을 줄이는데 일조하지 않을까 싶기도하다.  

<국립 어른 초등학교>는 이런 나의 바람과 일맥상통하는 책이기도 하고 왜 우리만 학교에 가야 하지? 아이가 외쳐대던 바이기에 함께 공감하며 읽은 창작동화다.

아이들에게는 친구들과 싸우지 말고 사이좋게 대화로 해결하라고 하면서 정작 어른들은 언제 그런말을 했는가싶게 삿대질하고, 작은 일에도 쉽게 흥분하며 싸우기 일쑤이다.

몸만 어른이지 생각은 아이보다 못한 어른들도 참 많구나 느낄 수 있었고 왜 어른 자격증이 필요한지 공감할 수 있는 책이다.

우리 아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어른들이 꼭 읽어봐야 할 책으로 추천~

 

 

 

 

 

 

 

 

 

 

 

 

 

 

 

"어린이는 항상 옳다"


아이들에게 인정받는 어른, 어른다운 어른!

이런 모범이 될 어른을 양성하기 위해 국립 어른 초등학교를 신설하는 법이 선포되었다.​

'어른 자젹증'을 받은 사람만 진짜 어른이다.


어른 초등학교의 개학일~

라온이는 오늘부터 엄마와 아빠의 선생님이 되어 가르친다.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 하는 엄마, 아빠에게 평소 엄마가 하던 방식대로 양은 냄비를 힘껏 두드리며 깨우는가하면,

공과 사를 확실히 구분하며 공정하게 평가한다.

딱지치기 수업, 매일 일기쓰기, 장기자랑 대회, 가족 뉴스 영상 만들기 등 숙제가 주어지고 아이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시험도 본다.

어른 학생은 왜 사생활을 침해받는 일기를 쓰고, 사회에 나가서 써먹을 수도 없는 이런 것들을 배워야하냐며 항의도 하지만 다 이유가 있기 마련~

그리고 담배꽁초 아무데나 버리기, 주차선에 맞추지 않고 삐딱하게 주차해 놓아 문콕하게 되었다며 서로 싸워 결국 학자녀를 데려오라는 말까지 듣는다.

어른 학생으로서의 면목은 땅에 떨어졌다.

엄마는 왜 항상 자기 말만 하는지, 남이 잘못한 것만 물고 늘어지고, 엄마도 잘못한 부분이 있는데 그건 사과도 안한다며, 누가 먼저 잘못됐든 그게 자기 잘못까지 덮어 주는 건 아니다. 그저 변명 하나를 만들었을 뿐이다라며 일침을 가한다.

어른 학생의 학자녀 역할도 똑소리나게 하는 아이들.

아이들을 너무 어리게만 본게 아닌지 싶어 뜨끔했다.

반면 아이들이 어른들의 일방적인 말과 행동에 얼마나 힘들었을지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어른 학생들의 딱지치기를 하는 모습과 표정들이 오랫만에 동심으로 돌아간 듯 즐거워보여서 추억속에 잠시 잠겨볼 수 있었다.

과연 라온이 부모님은 어른 자격증을 받을 수 있을까? 

 

 

 

 

 

 

 

 

 

 

 

 

 

 

배움에는 나이가 없다면서 가르침에는 나이가 있을까?"


어른은 나이가 들면 저절로 되는 거라서 어른이 되는데 자격증 따위는 필요없다고 한다.

반항 차원에서 등교 거부도 해보지만 아이들은 어른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듯이 그대로 따라하는 아이들에게 결국 손을 들고 만다.

신호를 무시하고 건너는 어른 학생, 전염병이 돌고 있는데 마스크를 쓰지 않는 어른 학생, 금연 구역에서 담배를 피는 어른 학생, 주차선 시비로 고성을 지르며 싸우는 어른 학생 등등 몸은 다 컸지만 아직 진짜 어른이 아닌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제 어른 자격증이 없으면 진짜 어른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세상이 되었다.

심지어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더라도 어른 자격증이 있어서 빌릴 수 있다니 흥미진진하지 않은가?​
아이 선생님은 어른 학생들을 열심히 가르쳐 우리가 존경할 수 있는 어른이 되도록 만들자며 각오가 대단하다.


왜 어른 자격증이 필요할까?

어른 들은 돈을 많이 벌어 아이가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도록 공부 뒷바라지 하고 맛있고 좋은것들 많이 사주면 된다고 착각하지만 정작 아이들은 무엇을 좋아하고, 하고 싶은것이 무엇인지 관심가져주고 이해해주기를 바란다.

어른 학생들의 말과 행동을 보면서 부끄럽다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아이는 어른들도 학교에 다니면서 아이들이 하는 생각, 놀이를 함께 한다면 더 빨리 이해하고 게임만 한다고 나무라지 않을 거라며 평소 생각을 토로한다.

그동안 어른들에게 하고 싶었던 말을 이야기를 통해 대신해주니 속이 시원하단다.

흥미진진 재미있다며 반복해서 읽는다.

시리즈로 국립 어른 중학교도 나왔으면 좋겠단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