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어나서 30분 잠들기 전 30분
제임스 알렌 지음, 윤성규 옮김 / 지식여행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잠들기 전에 들었던 생각들이 아침이 되면 스르르 사라져 내 몸 편한대로 그렇게 하루를 시작해버린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무언가를 해 보겠다는 결심처럼 어기기 쉬운 약속도 없었던 것 같다.

'일어나서 30분, 잠들기전 30분'이라는 제목만 보고, 하루를 시작하면서 혹은 하루를 마감하면서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는 것이 좋은 가 혹은 어떤 방법으로 그 시간을 보내면 좋은가 라는 측면의 자기계발서적이라고 넘겨짚고 있었던 나는 책을 펼치고는 작은 실망과 작은 따뜻함을 함께 느낄 수 있었다.

누군가가 해주는 충고글이 두페이지씩 넉넉한 여백위에 씌여있을 뿐,
특별히 아침과 저녁을 나누어 그 시간에 해당하는 무언가에 대한 이야기는 찾아볼 수 없다. 기대했던 포맷은 아니었지만, 오랜만에 읽는 짧은 글들이 한번쯤 나를 돌아보게 하는 힘을 가졌기에 금새 만족스러워졌다.

수면이라는 시간을 전후로, 나를 돌아보고 나의 마음에 귀기울이며 내게 붙어있는 군더더기들을 청소하는 시간을 갖게 하는 책이라고 감히 정의해 본다. 그러면서도 살짝 QT같은 느낌이랄까. (QT:Quiet Time , 자신의 정해놓은 시간마다 조용하게 말씀을 묵상하여 경건한 신앙인이 되도록하는 훈련으로 아주 널리 알려진 방법) 30분이라는 시간동안 그 날 하루를 조명해 보는 것이 아니라, 내 자신의 기본을 다시 한번 다지는 시간이라는 점에서 좀 더 근본적인 자기계발을 도모하기 때문에 그런 느낌이 들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또 다른 특징이 있다면, 잠들기 전 30분 테마에만 질문글이 함께 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아침 30분은 가볍게 읽고 하루를 시작하기에 좋은 글들로, 저녁에 있게 되는 잠들기 전 30분은 나를 되돌아 볼 수 있는 여지를 주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싶다.

사랑하기보다 사랑받는 데에만 신경 쓰고 있지 않은가? (본문 중)

하루의 시작과 끝에 나만의 생각시간을 가져본다는 건 기대했던 것보다 효과가 매우 좋았다. 일기를 쓰는 것과 다름없는 시간에 좋은 글귀 하나씩 읽어 내 것으로 만들어간다면 그런 하루가 쌓여 늘 내가 꿈꾸던 그 곳에 내가 서 있을 것 같은 확신이 든다.

잡생각에 잠 못 이루고 계신 분들도 줄거리 없는 책이니, 그때 그때 펼쳐보시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