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녀굴 - 영화 [퇴마 : 무녀굴] 원작 소설 밀리언셀러 클럽 - 한국편 17
신진오 지음 / 황금가지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황금가지 <무녀굴> 서평단에 선정되어 작성한 글입니다.

 

김녕사굴에 얽힌 뱀의 전설을 이렇게 풀어낼 수 있을까.

보통 전설이라고 하면 전통적인 해석이나 고전적인 이야기를 많이 활용하는데 이번 무녀굴은 전설의 새로운 해석과 더불어 소름돋는 반전의 이야기였다.

부천판타스틱영화제에 퇴마:무녀굴이란 제목으로 영화화 된 무녀굴에 퇴마란 단어가 참 인상깊어 읽기 시작한 책.

소설의 시작은 매드맥스 자전거 동호회 회원들이 제주도 김녕사굴을 탐험하러 가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담력훈련을 하러 들어간 김녕사굴에서 이 회원들이 모두 사라진다.

그리고 진명과 금주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금주는 남편 주열을 잃고 장례식장에서 처음 진명을 만난다. 남편의 후배이면서 퇴마사인 진명에 금주는 이상함을 느끼고 피하게 되지만 진명은 그곳에서 주열을 만나 굿판에서 쓰는 방울소리를 알게 된다.

그러던 중 매드맥스에 유일한 홍일점 희진이 살아돌아온다. 그녀에게 퇴마의식을 시행하면서 그들은 제주도의 사굴의 이야기를 알게되고 사건의 실마리를 찾지만 함께한 이들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 원혼은 금주를 원한다며 노골적인 표현을 남기고 본격적인 진명과 금주, 그리고 이들을 취재하기 시작한 혜인까지 세명의 인물의 사투가 이어진다.

그러던 중 금주는 자신의 할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어머니를 통해 알게되고, 지금 일어나는 사건이 자신과 관련되어 있는 일이란 것을 알게된다.

사건을 풀어가는 내내 주변에 사람들이 죽어가고, 그 과정이 매우 다이나믹하다. 퇴마의식을 하는 부분에선 마치 영화 엑소시스트가 떠오르고, 뱀과의 사투를 벌이는 부분은 공포영화에 정석처럼 나오는 귀신을 활용한 이야기보다 신선했다. 진명이 사용한 부적도 새로운 소재라 신기했고, 불특정한 장소에서 산발적인 공포가 아니라 분명한 공포심이 더 소름끼쳤다.

왠지 주변에 있을법한 익숙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공포심, 늘 의지하고 믿어왔던 가족간의 이야기라는 것이 더 무서웠다.

결말은 스포가 될 것 같아서 다 쓰진 못하지만 결국 김녕사굴의 전설을 가족적인 이야기로 재해석했다고 생각한다. 구전으로 떠내려오는 정말 짧은 이야기가 이토록 잔인하고 처절한 이야기가 될 수 있다니. 그리고 우리의 슬픈 역사가 한 가정의 파탄을 불러오다니. 슬프고 애통했다.

책을 다 읽은 후 아직까지 이해가 가지않는 부분이 있다. 뱀이란 소재를 썼지만 몇가지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굳이 뱀이 사람들의 눈을 멀게 한 이유가 무엇일까. 그리고 누구에게도 대접받지 못한 그녀는 왜 자신의 혈육에게 복수의 칼날을 간 것인가. 방울소리는 단지 무녀란 소재를 알리기 위한 존재인가.

사실 혜인의 존재는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굳이 필요한 인물인가.

책에선 해결되지 않는 아쉬움이 영화에서는 조금 더 명확히 해석되지 않을까 싶다.

분명 책에서 상상하는 것을 영상으로 만나는 것은 재미가 색다르기 때문에.

뱀과 무녀의 이야기가 부분부분 아쉽게 버무려졌다.

아쉬움은 남지만 결국 무녀굴은 전형적인 한국인의 정서를 어우른다. 일제시대 암울한 우리 역사를 이야기하고, 제주도에 내려오는 우리의 전설에 중심을 두고, 가족을 중요시하는 정서에 더불어 다양한 모녀의 이야기를 담는다.

그리고 무녀굴은 묻는다. 진정한 모성애란 무엇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