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거로 읽는 한국 정치사 - 우리의 운명을 바꾼 결정적 순간들
김현성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7월
평점 :
품절
[책속한줄]
이렇게 우리 헌법에는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해 대통령과 국회의원을 선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보통선거란 국민이라면 누구나 법에서 정한 나이가 되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국민이 갖는 가장 큰 권리 중 하나는 바로 선거다. 투표를 통해 이 나라를 이끌어갈 정치인을 선별하고, 그들을 통해 나라를 발전시킬 정책과 방향을 정하기 때문이다. 어느덧, 2022년 우리는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다. 국가의 커다란 결정을 하거나 정책을 정하는 중요한 자리이니만큼 우리는 올바른 자신만의 기준을 갖고 꼼꼼히 정책을 살펴본 후 내가 가진 소중한 한 표를 찍으러 투표소에 갈 것이다.
이 나라에서 내가 가진 가장 큰 힘, 이 한 장의 투표권을 갖기 위해 우리는 어떤 시간을 지나왔을까.
이 책은 우리나라에 선거가 도입된 시기부터 현재까지 선거의 역사를 다룬다. 1948년 해방을 맞이할 때에 처음 도입된 선거제도는 유럽처럼 쟁취한 것이 아니라 이미 다른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던 제도가 도입되면서 조금 다른 양상의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첫 단추가 참 중요했다고 느끼는 부분인데, 역사에 정답은 없고 가설도 없다하지만 아쉽기도, 안타깝기도 한 역사들이 많았다. 이제 우리의 선거역사는 어느덧 70여 년이 되었고, 부정선거와 독재정권이라는 과거의 시행착오를 지나 우리는 잘못된 일을 저지른 대통령을 스스로의 손으로 심판하기도 하고, 앞으로의 미래 4년을 이끌 올바른 이를 찾아 투표해 우리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다.
우리나라 헌법으로 시작하는 이 책은 우리가 지금의 모습을 갖추기까지 겪어야했던 73년의 정치사를 선거라는 제도와 함께 쉽게 버무려놓았다. 특히, 80년대의 선거사는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잃어야 했던 많은 국민들의 피와 눈물이 마음이 아팠고, 내가 기억하는 대통령의 이름부터는 반갑기도 했다. 어린시절 이름만 기억하는 대통령들이 선출되던 때는 어떤 선거 이슈가 있었는지 내가 미쳐 몰랐던 이야기도 새롭게 배울 수 있어 더욱 유익하고 재미있었다.
아직도 많은 나라가 온전한 민주주의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피를 흘리고 목소리를 낸다. 그리고 민주주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우리의 권리는 바로 이 선거다. 우리의 목소리를 대변해줄 올바른 사람을 뽑는 자리이니까.
정치라고 하면 어렵고 재미없는 부분이라 생각했는데, 각각의 선거에 대한 에피소드들을 토대로 배우니 더 쉽고 재미있었다. 이제 부끄러웠던 무관심을 버리고 나의 권리를 제대로 행세하러 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