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동물원
켄 리우 지음, 장성주 옮김 / 황금가지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부터 참 독특한데, 켄 리우라는 작가의 일대기가 우선 흥미롭다. 이 책의 전반적인 이야기를 들여다보며 아 정말 이 책의 모든 에피소드에는 그가 겪었을 사회적인 편견과 미래에 대한 고민이 오롯이 담겨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우선 이 책을 쓴 켄 리우는 중국에서 태어나 열한 살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간 후  하버드 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마이크로소프트 등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한 후 하버드 법학 전문 대학원을 졸업, 법무법인에서 변호사로 7년간 일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열세편의 작품 속에는 동양인으로 겪어야했던 차별, 프로그래머로써 일하며 상상했을 법한 미래의 사회를 풍자하는 작품이 유독 많은데, 여기에 아시아의 역사적인 사건을 모티브로 한 이야기까지 담겨있어 소설 속의 정서를 이해하기가 어렵지 않고 되려 익숙했다.

무엇보다 부모와 자식간의 교감을 중요시하는 동양적 관념이 많이 들어있어서 많은 공감이 갔던 것 같다. 첫 소설이자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종이동물원' 속의 어머니와 아들의 이야기도 그렇지만 시뮬라크럼의 아버지와 딸의 관계도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특히 종이동물원의 라오후(호랑이)의 울음소리가 유독 인상깊었는데, 으르라앙이라는 표현이 주는 그 기분이 묘했다. 사실 코팅된 종이의 마찰로 나는 소리를 호랑이소리로 대입하면서 '으르라앙'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을 것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어린아이의 눈에는 그 마져도 살아있는 소리로 느꼈을테지만. 그리고 그 근간에는 여전히 다문화가정이 겪는 어려움 특히 매매혼으로 성립된 가정의 어린아이가 느꼈을 사회적 소외감과 인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어 단순히 SF적요소 뿐만 아니라 가족의 의미 더 크게는 언어로 표현되는 민족의식까지 고민해봤다.

다가오는 미래사회의 가장 큰 화두인 AI가 통제하는 사회를 비판하는 소설도 무척이나 흥미로웠지만, 대부분의 소설에서 자신의 모국어인 한자를 모티브로 한 SF소설이 많다는 것도 흥미로웠다. 이제는 미국에서 미국국적으로 살고있지만 여전히 자신의 뿌리에 대해 생각하고 그 근원에 대한 고민을 소설로 그려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즐거운 사냥을 하길에 나오는 구미호라는 존재도 동양적 귀신의 의미가 아닌가. 서양의 귀신과 다르게 염은 여우이기 때문에 죽여서 소멸시켜야 할 존재가 아니라 지켜야하는 생명이 된다. 그래서 이 둘은 연대가 가능했던 것이 아닐까.

13편의 이야기는 배경도 이야기의 중심서사도 모두 다르다. 하지만 그 속엔 기본적으로 인간이 인간에게 갖는 애정과 사랑이 바탕으로 깔려있다. 서양적인 시점의 인간애적 요소이기 보다는 동양적 관점으로 보는 인간에 대한 애정이 바탕으로 깔려있어 그 부분이 흥미로웠다. 여기에 전세계적으로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는 요소를 잘 녹여내 보는 내내 전체적으로 우리가 느끼는 혼란과 사회적 인식에 대해 고민할 수 있었달까.

동서양의 이야기가 융복합된 색다른 소설이라 매우 흥미롭다. 과거와 미래가 함께 공존하지만 그럼에도 이 이야기가 여전히 흥미롭고 우리의 관심을 이끄는 것은 우리가 살아오면서 꾸준히 배워온 우리의 존재적 가치의 근원을 끊임없이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근원적 가치는 어려운 가치가 아닌 부모와 자식간의 끈끈한 유대, 민족의 얼을 담은 언어적 가치, 그리고 인간이 인간에게 갖는 최소한의 애정이 담기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