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의 지구사 식탁 위의 글로벌 히스토리
윌리엄 루벨 지음, 이인선 옮김, 주영하 감수 / 휴머니스트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빵의 지구사



빵을 주식으로 삼을만큼 좋아하는 사람 중 하나라 책 제목을 보자마자 심쿵하여 이렇게 읽고 후기도 남기게 되네요.
좋아하는 빵을 먹으면서도 이 빵은 어느 지역에서 생긴 빵이고, 빵의 유래 같은 것이 궁금하여 이왕 좋아하는 거 알고 먹자 싶어서 호기심을 충족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읽었어요.


첫 페이지 들어가는 문단을 읽어보면 이 책은 책을 만드는 사람을 위한 내용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실제로도 소비자의 푸드 라이프라기 보다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혹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에 대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어요.


우리가 알고 있는 빵들은 옛 사람들의 지혜와 문화의 발전에 따라 형태가 바뀌고 맛도 더 좋아지는 걸 알려주네요.
4대문명부터 시작된 빵이 되는 재료, 곡물가루, 빵의 발효에 대한 내용들이 나옵니다.
이스트를 개발하기 전에 빵을 부풀게 하는 방법도 소개를 하는데요.

인류가 여러가지 노력과 아이디어를 통해 더 맛있고 건강한 빵을 만들었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누구나 쉽게 소비할 수 있는 빵이 처음부터 아니었으며, 섭취하는 빵의 색상에 따라 먹는 사람의 지위를 알 수 있었다고 하니 그것 또한 재밌는 사실이네요.
부자들은 하얀색의 빵을 많이 먹고, 가난한 노동계층은 갈색빵을 먹었다고 하네요. 조금 인상 깊었던 내용은 귀족들의 경주마에게 먹이는 빵이 하층민이 먹는 빵보다 좋았다고 하니 그 시대의 배경을 알 수 있게 하는 구절이지 않았나 싶네요.


뒷부분으로 가면 한국에서 접하게 된 빵의 역사도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어서 반가웠는데요.

대부분 알고 계신대로 일본의 팡이 한국의 빵으로 알려져서 그대로 빵이 되었다고 합니다.

식문지 문화때 빵의 문화를 받아들여 일본식빵이 한국에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저희가 많이 알고 있는 건빵이나 단팥빵이 알려진 계기도 간단하게 소개가 되어 있으니 흥미로운 분들은 이 책을 통해 확인을 해보시면 좋겠네요.


책의 문단이 끝나면 빵 레시피, 빵에 대한 소개가 간략하게 나와있습니다.

빵을 통한 식문화를 서술하려니 설명이 약간은 부족한 책이 아니었나 싶네요.

그러나, 빵을 좋아하는 분들이 재밌게 읽으실 수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재미위주의 느낌보다는 빵에 대한 간략한 배경지식 같은 것이 궁금한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이 후기는 빵소담 서평이벤트를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