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블스 딜 The Devil's Deal - 금융교육전문가가 폭로하는 투자시장의 불편한 뒷이야기
안드레아스 로이조우 지음, 김무겸 옮김 / 시그마북스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경제학 관련 딱딱한 책들을 읽다가 소설의 형식을 빌려 어려운 금융이야기를 쉽게 풀어쓴 책을 만나 좋았던 책.

 

이 책은 우리가 모르는 혹은 관심을 두지 않는 경제와 금융에 대해 소설의 형식을 빌려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

개인 및 기관을 대상으로 금융 및 경제에 대한 교육과 투자상담을 하는 주인공의 관점에서

금융권에서 어떻게 금융상품들(펀드, 예금, 보험 등)을 만들고 그것을 어떤 사람들을 대상으로 판매하는지

그 과정 중에 누가 가장 큰 이득을 보는지 잘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책을 읽다보면 누구나 알아 챌 수 있는 사실은 그 주인공이 바로 저자이며 이 소설의 형식을 띤 주인공의 경험은 바로 저자의 생생한 경험이기도 한 것이다.  

어쩌면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이 소설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섬뜩한 이유이기도 하다.   

책 속에는 금융권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금융권의 많은 투자 방법 혹은 투자 상품들이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그런 투자 상품을 소개할 때마다 저자는 빼먹지 않고 이러한 투자 상품들을 이용해서 혹은 변형해서 사기를 친 많은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 중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사례도 있고 낯선 사례도 존재한다.  

흥미로운 점은 책에 소개된 많은 금융 사기를 통해 인간은 결코 합리적 판단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조금만 자세히 생각해보면 금융 관련 지식의 여부를 떠나서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그러한 투자 상품이 이익이 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사람들은 돈에 대한 탐욕 때문에 결국 눈이 멀 수 밖에 없는 것이고 금융 사기꾼들(합법적으로 돈을 번다고 주장하는 금융권을 포함해서)은 이것을 이용해서 우리의 지갑을 털어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기가 규모를 키우게 되면 우리가 경험한 리먼 사태와 같은 경제 위기를 초래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이 책의 난이도를 그렇게 높게 보지는 않았다.

개인적으로 경제 신문을 10년 이상 읽었기 때문에 모르는 용어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정작 읽어보니 30% 정도의 용어는 처음 들어본 것이었다. 물론 책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자세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내가 아무리 경제신문을 오래 읽었다 할지라도 나 같은 일반인이 아는 지식과 금융권 전문가와는 지식 차이는 당연한 것이고

그 차이는 결국 이익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은 모르면 당하는 것이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아니 내 지갑을 지키고 싶다면 돈에 대해서 공부하는 방법 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