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알고, 바로 쓰는 빵빵한 어린이 한국 전설 우리 아이 빵빵 시리즈 9
현상길 지음, 박빛나 그림 / 유앤북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아이 빵빵 시리즈 ⑨

설화는 신화, 전설, 민담으로 나뉘는데요.

그 중 한국전설에 관한 내용을 빵빵시리즈로 만날 수 있게 되었네요.

신화는 보통 단군, 주몽, 박혁거세와 같은 왕들을 신격화하여 만든 이야기라면, 전설은 특정한 시대의 현실적 시간과 공간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한 이야기로 실존 인물이나 특정한 지역의 산, 바위, 연못 등 구체적 증거물을 가지고 있는게 특징이라고 합니다.

민담은 완전히 꾸며낸 옛날이야기로서 듣는 사람들의 흥미를 위주로 하며, 아무 제약 없이 지어져 말로 전해 내려온 이야기입니다.

빵빵한 어린이 한국전설


빵빵한 어린이 한국전설은 35가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전등사의 벌거벗은 조각상을 시작으로 지리산 뱀사골 이야기까지 우리가 알만한 장소들도 많이 등장하는데요.

그에 얽힌 전설을 알아두면 훨씬 더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네요.

 


학이 맺어 준 외딴섬의 사랑이란 제목의 전설은 서해 최북단에 위치한 '백령도'에 얽힌 이야기입니다.

하나의 전설이 시작될 때마다 우리 빵빵캐릭터들도 함께 등장해서 이야기의 물꼬를 터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종이학 이야기로 시작하는군요 ㅎ

사또의 딸과 사랑에 빠진 가난한 선비가 등장하고 이를 안 사또에 의해 강제로 서해의 무인도로 쫓겨나 외로운 날들을 보내게 됩니다.

어느 날 가난한 선비앞에 나타난 학은 그토록 사랑하는 낭자의 편지를 전해주고, 선비의 편지를 낭자에게도 전해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렇게 선비의 거처를 알아낸 사또의 딸은 선비를 찾아와 만나게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이 섬이 바로 서해 최북단에 위치한 백령도인데요.

원래 이름음 하얀 학이 맺어 준 사랑 이야기가 전해져 백학도라고 불렸다고 합니다.

그래서 종이학 천 마리를 접으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말도 생겨난건지 모르겠네요~


 



 


지난 여름 휴가로 다녀온 경주의 석가탑도 등장하는데요.

석가탑은 그림자 없는 탑이라는 무영탑이라 불렸다고 해요.

신라의 경덕왕 때 김대성은 불국사를 창건하면서 백제의 뛰어난 석공인 아사달을 데려다가 석탑을 쌓도록 하였는데 아사달의 아내 아사녀는 아사달을 기다리다 연못에 빠져 죽게 됩니다.

석가탑은 왜 그림자 없는 탑이 되었는지

더 자세한 이야기는 빵빵시리즈와 함께 즐겨보세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작성한 솔직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