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직이는 우리말, 동사
오은주 지음, 유창창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동사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말맛, 글맛이 달라져요.
동사의 역할과 쓰임과 활용을 두루 살펴볼 수 있는 책!




국어는 우리나라 언어임에도 고학년으로 갈수록 백점 맞기가 어렵다고들 하죠.
특히 문법은 따로 배워야 할 게 많아 아이들도 조금씩 학년에 맞게 미리미리 준비해야 하는 것 같아요.
어휘의 중요성과 함께 맞춤법도 역시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꼼꼼하게 볼 필요가 있다고 해요.
우리도 공부해 봐서 알지만 국어 문법 쉽지 않아요ㅜ

지금 소개할 책은 품사 중에서도 <동사편>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구성해 놓은 책이에요.
표지만 봐도 그리 딱딱하게 느껴지지 않죠!!








동사를 4가지 챕터로 구분해서 설명해 주는데요.
예전에 우리가 배우던 문법책과는 차원이 다르네요..
어린 아이들도 충분히 읽고 이해하고 소화할 수 있도록 재미있는 삽화와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이젠 흔하게들 쓰는 말이죠
"밀당"
이런 단어들이 언제부터인지 부쩍 많이 늘어 어떤 아이들은 본래의 뜻도 모른 채 쓰고 있겠다는 생각도 들어요.
"밀당"은 밀고 당기다 라는 뜻인데, 처음부터 밀다는 이런 동사다, 당기다는 이렇다 라는 식의 뜻풀이가 먼저 제시되는게 아니고 귀여운 삽화와 함께 그 스토리를 풀어가면서 상황에 맞게 뜻을 풀이해 주니 전혀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네요.

뒷장에서는 "밀다" "당기다"의 변형된 모습과 어떤 뜻으로 쓰였는지 예문을 통하여 자세하게 설명해 줍니다.
설명 또한 깔끔하게 간단명료하게 가독성이 좋게 되어 있어 참 좋았어요.






"가다"라는 동사의 기본형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살펴볼까요??

가다, 가고, 가는, 가면, 가려고, 가, 간, 갑시다 등 여러 활용형의 동사가 문장 안에서 어떤 뜻으로 해석되는지 금방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을 사용하다 보면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 참 많은데요..
그 중에서도 특히 동사가 더 많은 것 같아요.
다음과 같은 <조리다/졸이다> <낫다/낳다> 등 헷갈리기 쉬운 여러 동사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참다/견디다>와 같은 유사어, <들다/나다>와 같은 반대어도 있어 상황에 맞는 동사 사용을 배울 수 있답니다.






나아가 어간과 어미와 같은 문법용어들도 등장하는데요.
자연스럽게 반복적으로 접하다 보면 아이들도 어느 새 어간과 어미를 구분할 수 있게 되겠지요..

이런 책들을 접할 때마다 드는 생각인데, 이런 책 있었음 나도 문법 공부 쉽게 했겠다 싶어요.
우리 아이들 해야 할 공부도, 봐야 할 책들도 참 많지만 어렵게만 느껴질 문법을 이렇게 쉽고 부담없이 배울 수 있는 책이 있어 내심 반가웠어요!!






왜 동사를 알아야 할까요??
(출판사 소개글)


동사는 문장을 이루는 중요한 뼈대예요. 주어나 목적어 등이 어떤 움직임을 보이고, 어떤 상태에 있으며, 어떤 성질을 가지는지를 알려 주는 말이거든요. 동사는 그 자체로도 문장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요. 우리가 말을 하거나 글을 써서 의사를 전달할 때 동사를 쓰지 않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동사가 얼마나 중요한지 바로 알 수 있을 거예요.


  동사는 모습이 정해져 있는 명사와 달리, 모습이 계속 달라지는 재미있는 말이기도 해요. ‘밥을 먹었다.’ ‘밥을 먹었니?’ ‘밥을 먹고,’ ‘밥을 먹어서’ ‘밥을 먹으려고’ ‘밥을 먹었는데’……. 우리가 늘 쓰는 말이라서 그냥 지나쳤겠지만, 동사의 변신은 정말 변화무쌍해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역할도 각각 달라진답니다. 어떤 동사들은 모습이 같지만 여러 뜻을 갖고 있는 경우도 많아요. ‘이를 갈다.’라고도 하고, ‘타이어를 갈다.’라고도 하잖아요. 비슷한 뜻이지만 어디에 쓰였는지에 따라 미묘하게 뜻이 달라지기도 하죠.


  이처럼 모습이 달라지고 뜻도 여럿이다 보니 우리 어린이들이 동사를 적절히 잘 쓰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해요. 맞춤법을 틀리게 쓰는 일도 많고요. 우리말 실력은 무작정 단어의 뜻을 많이 안다고 늘지 않아요. 특히 동사는 기본 뜻과 쓰임뿐 아니라, ‘문장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모습으로 변하고 어떻게 뜻이 달라지는지’까지 알아야 자유자재로 쓸 수 있죠.


  동사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말맛, 글맛이 달라지는 우리말. 동사를 잘 알면 그만큼 우리말을 잘 구사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어요. 동사에 대한 이해가 늘면 맞춤법을 틀리거나 엉뚱한 뜻을 전하는 일은 줄고, 내 생각과 의견을 더욱 자유롭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을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