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크루그먼의 경제학의 향연은 이런 구절로 시작한다. '어떤 지적 영향력과도 무관하다고 확신하는 실무가들도 대개는 오래전 고인이 된 어떤 경제학자의 노예이다...... 빠르든 늦든 선이든 악이든 위험한 것은 기득권이 아니라 사상이다' ㅡ존 메이너드 케인스, 일반이론ㅡ당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경제학자들도 인정하는 것이 사상의 힘이다. 특히 경제 이론은 정치적으로 매우 강력하다. 왼쪽에서는 시장을 불신하고 오른쪽은 시장은 과신한다. 시장을 어떻게 보느냐가 정치적 스탠스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물론 매우 편협하게 해석하는 것)이러한 현실에서 시장주의를 대표하는 사람 중 하나가 애덤 스미스다. 애덤 스미스는 산업화가 시작되는 시기이자 아직까지 중상주의 풍토가 있던 시기에 등장했는데 중상주의란 상품의 가치는 상인이 가치가 가장 높아질 타이밍과 장소를 고르는 능력으로 결정되며 심지어 국가는 직접 플레이어로 뛰어 외국과의 거래에서 무역 차익을 내도록 독점기업을 장려하고 국내 시장의 가격 결정에 개입하고 외국 상품에 관세를 매겨 자국 상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금을 많이 가져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이런 중상주의에 대해 애덤 스미스는 매스를 댔다. 푸줏간 주인의 고기를 파는 것은 그의 선함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이며 각자의 이익을 위해서 일하면 최선의 결과를 내는 체계를 고안했다. 이 체계 내에서는 국가의 개입은 최소화되고 시장의 자유로운 거래로 최선의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애덤 스미스의 체계는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용어로 집약되는데 이는 시장만능주의와는 다른 것이다. 시장만능주의는 이른바 부자들이 더 부유해져서 그들의 그릇이 가득차면 아래쪽으로도 흘러내린다는 낙수효과에 근거하는데 애덤 스미스의 체계에서는 독점기업은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은 완전경쟁으로 시장을 교란하는 국가나 독점기업이 없는 체계를 가리킨다. 즉, 시장을 불신하는 것만이 아니라 시장만능주의자들과도 거리가 있는 것이다.과거에 오른쪽에 가까운 경제학자인 신관호가 자신은 시장에 대해 이전보다는 더 의심하게 됐고 때문에 시장을 교란하는 것을 더 확실히 감독하고 징벌해야한다는 어투로 말한 적이 있었다. 이는 그의 견해가 애덤 스미스적 견해에 가까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그는 다소 왼편에 있는 경제학자인 김상조는 시장에 대해 조금 더 합리적으로 생각하게 되어 예전에는 서로 다르던 의견이 이제는 비슷하게 됐다는 이야기를 했다. 이처럼 왼쪽에서는 시장에 대한 불신을 조금 거두고 오른쪽에서는 시장에 대한 과신을 줄여서 시장을 합리적인 상태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해야한다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