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에 읽은 교양과학, STS 책들의 목록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11/30-2014/1/13. 1, 2, 4, 6장 부분 독파. 내용은 그럭저럭 흥미로운데, 영 진도가 안 나간다.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11/8-12/26.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10/18-11/20. 결론만 빼고 독파. 재미있는 아이디어들은 많은데, 책 전체적으로는 구성이 산만하다는 느낌. 편집의 실패인 듯.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9/27-10/4. 일곱 가지 구조물 탄생의 역사에 관해 기본적인 정보들을 담고 있어 쓱 읽어보기 좋다. (예전에 히스토리채널에서 방영한 7부작 다큐 파일도 여기저기 많이 굴러다니니 같이 보면 효과가 배가될 듯.) 하지만 그리 깊이는 없다... |
![](https://image.aladin.co.kr/product/2996/16/coversum/8932916225_3.jpg) |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캐서린 헤일스 지음, 허진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8월
25,000원 → 22,500원(10%할인) / 마일리지 1,2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2월 17일 (월)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
|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9/24-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9/14-9/16. 괜찮아 보이는 기획이긴 한데, 알맹이와 깊이는 별로 없네... 미디어 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은 마음에 들었다.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9/7-9/11. 7-8장 독파.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9/3-10/14. SSK 세미나 하면서 완독하게 된 책. 올해 본 책들 중 가장 만족스러웠고, 역시 명불허전이라는 느낌. 역사책은 이렇게 써야 한다는 정석에 가깝다는 느낌이랄까...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8/25-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5/10-5/15. 서문 정도 읽는 선에서 마무리. 내가 생각했던 그런 책은 아닌 듯...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1/28-2/3. 2장 읽다가 번역 때문에 짜증나서 접기로 했다. 역자가 물리학에 너무 문외한이어서 번역에 도무지 신뢰가 가질 않는다. (뭔 소린가 싶어 원문대조해 보면 죄다 오역.-_-) |
![](https://image.aladin.co.kr/img/blog2/button/list_arr.gif) |
2012/12/29-2/14. 한 챕터 빼고 끝까지 다 읽었다. 자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