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샤먼 제국 - 헤로도토스, 사마천, 김부식이 숨긴 역사
박용숙 지음 / 소동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샤먼문명을 먼저 읽고 샤먼제국은 반 정도 읽었는데 처음에는 기존 관념과 너무 달라서 어리둥절했습니다만 읽으면 읽을수록 상당한 진실이 들어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책장을 넘길수록 그 진실 무게가 무거워짐을 느꼈습니다.
무엇보다 모호한 우리 고대사와 중국 고대사가 날줄 씨줄 엮듯 명료하게 정리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기존에 배운 역사관으로는 도저히 이해가 안 될 내용을 담고있다고 봅니다. 그런데 그 기존 역사관으로는해결 안 되는 고대역사를 이 책은 똑 부러지는 근거를 들이밀며 해설해내고 있더군요. 머리가 환해진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머리를 밝혀준 역사서가 여태껏 없었거든요. 작가가 상상력을 발휘했다고 하나 역사를 해석하는 역사학자들도 밥먹듯 하는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한 유물을 보고도 해석이 학자들마다 갈립니다. 상상력이 첨가되지 않은 역사는 없다고 봅니다. 없는 것도 지어내서 갖다붙이는 세상입니다. 그에 비하면 샤먼제국에서 발휘한 상상력은 그 정도가 매우 온건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어쨌든 고대사가 궁금해서 지금까지 여러 책과 강의를 들었습니다만 이 책처럼 머리를 시원하게 만든 책은 없었다고 잘라 말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
젊은역사학자모임 지음,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 역사비평사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반쯤 긍정으로 썼던 리뷰를 고쳐올린다. 그동안 여러 자료를 보니 이 책 내용이 어처구니가 없어 나를 화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고대사가 궁금하여 이런저런 책을 제한없이 보던 내게 여러 시각을 골고루 비쳐보는 계기가 된 책이다. 젊은 학자들이라서 그런지 패기가 엿보이고, 그들이 <사이비>라 칭하는 재야사학자들의 잘못을 실랄하게 꼬집는다. 그러나 헐뜯는데만 치중하다보니 책 전체 내용은 빈약하기 그지없다. 고조선을 실증하는게 아니라 부정하기 바쁘고, 한사군과 낙랑군에 지나치게 맹공을 퍼붓는다. 단군은 동서비교연구를 통해서 실증이 가능한 존재임에도 이것조차 부정한다.
학계에서도 옥석이 있을 것이고 재야사학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역사를 올바르고 깊게 알고픈 사람에게 식민사학자나 사이비 논쟁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학계에 있는 분들도 그들 나름의 연구분야가 있을테고, 재야사학자들도 다양한 시각에서 고대사를 넘어 상고사까지 진실을 캐려고 노력하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제발 우리같은 소비자들한테 제대로 된 역사를 풀겠다는 마음으로 연구를 하고 책을 쓰기 바란다. 솔직히 고대사 상고사 분야는 이를 소홀히 한 학계에서 반성해야 한다.
그렇더라도 이 책은 재야사학자들이 쓴 책을 즐겨보는 사람 또는 진실을 갈구하는 사람이라면 (사지 말고 빌려서) 한 번쯤 볼만한 책이다. 과연 학자라는 사람들이 역사 진실을 알리려고 이 책을 썼는지, 아니면 일제가 만든 왜곡된 역사를 방어하려고 썼는지 눈에 훤히 보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 우리 역사에 대한 자부심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해경 - 중국 최고(最古)의 지리.의학.역술.보물.신화의 판타지
전발평.예태일 지음, 서경호.김영지 옮김 / 안티쿠스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석은 잘 해 놓은 것 같다. 그러나 단점이 몇 가지 보인다.
1. 본문과 그림이 따로 논다. 그림이 본문을 보완하는 게 아니라 전혀 다른 흐름으로 간다.
2. <산해경>자체의 원문이 아니라 중국 학자가 써놓은 글을 해석한 것이다. 중국 학자의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예301쪽-전강당은 안휘성 휴녕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