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 속의 덱스터 모중석 스릴러 클럽 17
제프 린제이 지음, 김효설 옮김 / 비채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짧은 영상 안에 드라마의 매력을 극대화 시켜 사람들에게 각인시키는 역할을 할 도입부 영상이 시작되고, 한 남자는 잠에서 일어나 면도칼로 짧은 수염을 깎고 신발끈을 꽉 조여 묶고 토마토를 자르는 둥 출근하기 위해 제 할 일을 한다.
단지 그것 뿐인데 왜 그 보통의 행동이 오싹하게 다가오는걸까. 각인이 확실하게 되는 순간이다. 내가 말한 지금의 이미지는 매혹적인 살인마 덱스터를 영상화한 드라마가 처음 시작할 때의 모습이다. 특별함을 숨기기 위해 보통인물로 위장을 하고,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것을 숨기기 위해 보통 사람들처럼 웃고 화를 내는 척을 하는 덱스터는 유일한 가족인 여동생 "데보라"과 함께 같은 업계에서 일을 한다. 살인마의 직장으로는 적합치 않은 경찰서라는 곳에서 혈흔을 체취해 감식하는 일을 하고 있는데 이것 또한 철저히 욕망에 따라 행동하기 수월한 곳을 찾아 직업으로 만든 것이다. 그는 양아버지 밑에서 살인 충동을 최대한 좋은 방향으로 풀어갈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자라는 청소년이 그렇게 위험한 것을 마음 속에 품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챈 것도, 그것을 일반인이 아닌 사악한 살인마를 향해 광기어린 칼날을 돌리라는 것도, 일을 시작하기 전에는 최대한 심사숙고해야하며 살인 동기를 충분히 만족시킨 후에야 일을 시작하라는 방침을 내린 것도, 어떻게 보면 현명해다고 말을 해야할까. 어쨌든 살인마를 살인하는 살인마 덱스터의 매혹적이고 위험한 이야기를 책으로는 처음 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나 또한 그에게 매력을 느낄 수 있을지 없을지가 내 개인적으로 세워둔 또 한가지의 기준점이었다.
어둠속의 덱스터에서는 그동안 덱스터가 살인을 수월하게 저지르는데 큰 공을 세우고 거의 덱스터의 마음을 움직이고 몸을 조종하는 역할을 했던 검은 손님이 사라져버리고, 그동안 당연히 함께 있어야 할 존재로만 생각했던 검은 손님에 대한 존재 의미와 그 이유에 대해 심사숙고하는 내용이 펼쳐진다. 게다가 마침 그때 리타와의 결혼 때문에 정신 없는 덱스터에게 흥미를 느끼고 덱스터에게 심리적인 압박감을 가하는 또 다른 검은 손님을 태운 살인마가 나타나고만다. 그동안 두려울 게 없었던 그는 다른 사람과 같은 행동을 하고 다른 사람처럼 이후 어떤 일이 벌어질지 예상을 못하는 생소한 자신을 마치 검은 손님을 태우고 다니는 다른 살인마들 앞에서 발가 벗겨진 느낌이라는 생각을 하고 만다. 가지고 있던 능력을 잃어버린 그는 어떻게 이 곤란한 상황을 넘어설 것인가. 살인을 저지르고 여러가지 사건이 일어나는 것보다도 언제나 함께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끝까지 함께일거라고 생각했던 검은 승객이 사라지고 난 뒤의 혼란스러운 덱스터의 심리 묘사가 더욱 빛을 발했다.
끝까지 읽는 내내 안정된 속도감을 자랑하는 소설이었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독서였으나, 그동안 차차 쌓아 올린 내용에 비해 결말이 조금 약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설마 설마 했던 것이 사실로 나타났을 때의 느낌이다. 그러나 확실히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았다는 것은 그만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그동안 미뤄뒀던 덱스터의 매력을 알아가는 일은 책을 읽어가는 것이 아까울 정도로 참 즐거웠다. 어두운 밤, 스탠드 불빛에 의지해 책을 읽어내려가는 내내 나는 마치 덱스터의 의식 속에 탑승한 검은 승객이 된 느낌이었다. 어느덧 한층 더 강해진 그의 또 다른 이야기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