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가족
한요셉 지음, 박지선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핵가족사전 서평단

핵가족디아스포라정체성세대의 감동적인 상호작용

 

 

***이 글은 <핵가족사전 서평단에 참여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핵가족>책은 7월 19일 정식 출간될 예정입니다.

 

한 요셉 작가의 장편소설, “핵가족은 한국 이민지와 북한 실향민의 다면적이고 때로는 불협화음을 겪는 삶을 흥미진진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한 요셉 작가는 종종 간과되는 북한 실향민들의 처지를 세밀하게 조명하고그들의 경험과 한국계 미국인의 경험들을 한 가족의 서사시를 통해 도출하는 동시에 한반도의 현대 사회 정치적 지형에 대한 새로운 시각들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점점 더 대중의 관심을 끌고 있는 한국계 미국 이민자의 이야기와 상대적으로 소외된 북한 실향민의 이야기를 전문적으로 균형 있게 다루며종종 분리되어 있던 두 가지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통합합니다소설 속에서 이질적으로 보이는 이 두 세계를 넘나드는 생생한 파노라마가 펼쳐지며가슴 뭉클하면서도 깨달음을 주는 통합된 네러티브를 만들어냅니다.

 

장편소설 핵가족은 역사적 사건에 초점을 맞추는 일반적인 스토리텔링 방식에서 벗어나 한국계 미국인 이민자와 북한 실향민이 얽혀 있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섬세하고 다층적인 묘사를 진행하는 방식을 택했습니다이 현대적인 시각은 두 이야기가 미국과 한국 사이의 경계에 갇혀 어느 곳에서도 온전히 속하지 못하는 방랑자적 상황으로 묘사된다는 가슴 아픈 진실을 드러냅니다문화와 정체성 사이의 이러한 긴장은 독자들에게 이민과 이주(실향)의 지속적인 복잡성을 상기시키며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이 책에서 진정으로 빛나는 부분은 분단과 이민이 MZ세대 한인 가정에 미친 영향에 대한 탐구입니다역사적 트라우마의 유산과 그것이 여러 세대에 걸쳐 어떻게 스며드는지 섬세하고 통찰력있게 묘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묘사 방식은 단지 북한 실향민-한인 이민자라는 특수성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다층적인 층위의 이민자들과 실향민들이 늘어나고 있는 세계화의 흐름을 따라 전 세계에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많은 가족의 경험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할 뿐만 아니라 매우 관련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장편소설 핵가족은 등장인물만큼이나 나면적인 네러티브를 성공적으로 엮어내고 있습니다이 책은 한인 디아스포라 뿐만 아니라 점점 더 상호 연결되고 있지만여전히 깊이 분열되어 있는 세계에서 정체성과 소속감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이 소설은 이민이주고향을 향한 인간의 끊임없는 탐구에 대한 논의에 크게 기여한 작품임에 틀림 없습니다.

 

한국 독자들에게 핵가족이라는 주제는 보편성뿐만 아니라 특수성에서도 깊은 울림을 줍니다이 소설은 미국북한한국 등 21세기에 한국인됨’ (Koreaness)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다시 생각하게 하기 때문입니다.더 나아가 이 소설은 미묘하게 복잡한 한국인됨의 경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선입견에 맞서도록 독자들에게 도전합니다.

 

솔직하고 날것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며 궁극적으로 빛을 발하는 장편소설 핵가족은 마지막 [비매품을 읽는 시점에서도페이지를 넘긴 후에도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책입니다한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여러 세대에 걸쳐 이어진 역사적 트라우마의 지속적인 영향에 대한 이해를 갈망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할 필독서입니다이 책은 지극히 개인적이면서도 보편적인 경험을 성찰하고 공감할 수 있는 거울과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창문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편 소설이 가진 미덕을 충분히 가진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핵가족 #한요셉 #위즈덤하우스

 

 

태우는 도라전망대의 단에 올라가 죽 늘어선 쌍안경 뒤에 섰다. 그에게 신경 쓰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는 오래전에 죽었으니까. - P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