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번째 달의 무르무르 Nobless Club 13
탁목조 지음 / 로크미디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일곱 번째 달의 무르무르 - 탁목조

 


표지도 특이하고 제목도 특이한 이 소설책의 첫 느낌은 뭔가 새로운 것을 기대하며 만나게

되는 설레임이었다. 책을 처음 맞이하면 하는 행동은 늘 똑같은데 표지의 그림이나 글씨를

하나하나 찬찬히 보는 것이고 숨은 그림찾기라도 하듯 하나하나 그림을 음미하는 것인데

그러한 행동에는 작가의 말을 자세히 보는것까지 포함된다.

 

작가의 말이라고 하면 작가의 가장 기본적인 연혁들이 주를 이루기 마련인데 탁목조라는

작가는 뭔가 틀린 느낌을 준다. 첫 마디가 "나름대로 새로운 세계를 열어 보고 싶었습니다

"이다. 그의 머리와 가슴에서 그려지는 어떠한 새로운 세계를 보여줄지 설레는 기대감으로

첫장을 펼쳤다.

 

무한히 뜨고 지는 것을 반복하는 가이아와 6개의 달, 그리고 일곱번째의 잊힌달.
그 잊힌 달에 사는 수많은 인종이 이 책의 주인공이다. 상상속에서도 쉽게 만나지 못한 여

러 특징을 가진 인종들이 이 책에서 숨을 쉬며 살고 있었다. 가장 중심인물이랄 수 있는

고돈이 자식을 얻는 장면에서부터 시작하고 그들의 생활 방식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과는 천지차이다. 그야말로 작가의 머릿속에서 완벽하게 상상의 세계가 만들어진 것이

다.

 

모든 행동, 언어방식, 식습관 등등이 확연히 다른 이 세계를 만나고 이 세계 속으로 빨려

들어가듯 책을 열심히 읽게 된다. 아마도 판타지 소설을 접해본적이 있거나 좋아하는 사람

이라면 이 책에 쉽게 반하게 되지 않을까? 그 유명한 '반지의 제왕'이나 '드래곤 라자'와

같은 인간, 드래곤, 엘프, 드워프, 호피트, 오우거 등등의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종족들이 살고 있는 판타지에 열광했던 사람들이라면 말이다. 그러나 이 책이 신기하고 새

로운 느낌을 주는 이유는 전혀 새로운 달의 세계의 창조이다. 그 달에는 전혀 새로운 인종

들이 살고 있었다.

 

그 흔한 사랑의 감정같은 것조차 찾아 볼 수 없는 이 책이 왜 그렇게 끌렸을까. 명확한 말

로는 표현하지 못하겠지만 '완전 재미있다'는 말이 저절로 나올 정도로 흡인력이 있다는

거다.


명확한 결말을 볼 수 없었다는게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그야말로 작가의 상상력에 의존하

다 그 뒤 이야기를 혼자 상상하려니 힘들었다. 한가지 기대로 남는건 작가의 말 중에 새로

운 세계이야기의 첫번째 이야기가 끝났다고 했으니 두번째 세번째 이야기도 곧 우리에게

들려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생겼다는 것이다. 그의 새로운 세계를 기다리게 된다.

 

무르무르의 스포러와 키메리에스 미료가 무사히 새로운 달에 정착해서 부부의 모습으로 살

고 있는지,, 다른 무엇보다도 그게 제일 궁금하다.

내 상상속에선 행복한 부부의 모습으로 살고 있는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