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직 글쓰고 책읽는 동안만 행복했다 - 원재훈 시인이 만난 우리시대 작가 21인의 행복론
원재훈 지음 / 예담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오직 글쓰고 책 읽는 동안만 행복했다 - 원재훈


책의 표지를 보면서 과연 이 책을 재미나게 볼 수 있을까? 많이 망설였다. 오직 글 쓰고 책 읽는 동안만 행복했다 자신있게 말하는 작가들의 삶에 관한 이야기들을 읽으면서 나의 모습을 되돌아볼게 될텐데,,아니 확실한데, 거기서 오는 나의 부족함들을 계속 발견하게 될텐데 과연 이 책을 보면서 잘 봤다,,생각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들로 계속계속 망설였다.

21명의 작가 중에는 공지영, 신경숙, 김형경, 김용택처럼 익히 작품으로 만나봤고 좋은 느낌을 가기고 있었다. 그들에게 관심도 있었고 그래서 이 책에서 더욱 깊이 만날 수 있고 작가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어서 좋았다. 그 외 작품은 만나보지 못했지만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던 작가들도 있었고, 시인의 경우는 유명하다는데도 난 알지 못하는 시인도 있었다.

여기서 반성 하나, 어렸을때는 그래도 시집도 사서 읽고 마음에 와 닿는 좋은 시는 암송하려고 했던 적도 있는데 어쩌다 시와 이리 멀리하게 되었나 싶었다. 이러저러한 사연들을 가지고 있는 시집들이 그래도 좀 있는데, 그 소중한 책들을 난 왜 멀리하고 있는거지?

변명이 될 수도 있겠지만 그래서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읽는 방식을 택하지 않고 제일 좋아하는 작가의 이야기부터 골라 읽었다. 골라 읽는 재미가 쏠쏠했다는^^..

모두 한국작가여서 그런지 그들의 삶의 모습은 다 다른데도 모두 지극히 한국사람의 삶의 모습을 하고 있었고 그래서 더욱 친근하게 다가왔다. 글쓴이와 작가들의 만남동안에 나누어진 이야기들은 읽고 있는 내내 참 따뜻하고 진솔하게 다가와서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었다. 중간중간 보이는 주옥같은 말들이 소중하다.

신경숙의
"사랑한다면 죽지 않는다. 잊히는 것이 죽는 것이다."
"중요한건, 상대에게 왜 그러냐고 다그치지 않는 것, 묻지 않는것이다."
난 아직도 아주 많이 미숙하기 때문에 늘 다그치고 내 뜻대로 하고 싶어하며 되지 않을때 짜증내고 성질냈는데 작가의 연륜인걸까, 그는 벌써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바라볼 때 가장 큰 사랑을 가질 수 있다는걸 알고 있었다.

[즐거운 나의 집]이라는 작품을 통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된 공지영의
"사람의 얼굴이라는 거, 마음의 거울이 아니라 내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는 내 몸의 거울."
"욕하기 보다는 위로하기를, 그러기 위해서 더 자신에게 엄격해질 것."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절실히 느끼게 해 주는 말이다. 지금 순간순간 살아가지만 그 순간순간의 선택이나 행동들이 내 몸에 쌓여서 미래의 모습을 나타내준다는 건 생각하기 힘들다. 그러나 조금만 주위를 둘러보면 노년에 인자하고 편안한 모습으로 늙어가는 어르신들을 볼 수 있듯이 나도 그렇게 살고 싶다. 그렇게 늙어가고 싶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의 작가 김연수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그의 작품을 읽고 감탄하는데 정작 나는 보지 못했다. 다른 작품은 차치하고라도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이라는 작품만큼은 꼭 보고 싶다. 제목에서 묻어나는 위로가 작품에 고스란히 녹아있길 바라며,,

섬진강을 노래하고 지키고자 고군분투하는 시인 김용택의
"단 몇 초의 실수가 수십년의 생을 완전히 쑥대밭으로 만들기도 한다. 삶은 두려운 것이다. 삶에 두려움이 없다면 인생은 무서운 짐승이 된다."
무섭도록 원시적인 문장이지만 삶을 쉽게 바라보지 않게 만드는 말이다. 가슴에 콱 박히는 말이다. 내가 살아가는 인생이 무서운 짐승의 모습이 되지 않게 하려면 얼마나 열심히 살아야하는 것인지.

등등 너무나 많은 말들이 나라는 존재를 생각하게 한다. 가슴깊이..
그리고 이들의 작품을 읽을 수 있다라는 사실이 정말로 행복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제법 무거운 책을 손에 들고 읽으면서 어깨가 많이 아파왔지만 참 잘 읽었다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