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개 1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논개 1,2 - 김별아


 

"있고도 없는, 그리하여 언제나 새로울 수 있고 다시금 새로울
수밖에 없는. 소설은 결국 시간을 다루고, 시간에 저항하고, 시
간과 화해하는 것이다." 작가의 말 중에 나오는 말이다. 작가는
이러한 이유로 역사속에 남아있는 그녀를 소설이라는 작품속으로
불러낸것일까. 그녀를 빛나게 하기 위해..

 

책을 펼치면서 여러 생각들이 교차한다. 사실 논개란 여인이 어
떤 여인인지 잘 몰랐다. 물론 그녀가 기생이고 일본의 장수를
끌어안고 촉석루라는 곳에서 아래 강으로 함께 떨어졌다는 것
정도...하지만 그녀에 대한 이야기는 그녀의 삶의 어느 한 단면으로
실제 그녀의 삶과 너무 다른 부분이 많아서 작가는 아쉽고 또
화가 났던 것일까. 그녀를 작가는 다시 말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논개란 여인을 알아서 반갑고 고마웠다. 사실 많은
이들이 알고 있지만 진정으로 알지는 못하는 역사속의 인물에
대해서 조금더 알수 있다는건 그만큼 기쁜일이기에. 하지만 김별아의
논개는 논개속에 논개가 주인공이 아닌듯한 느낌을 떨쳐버릴 수가
없었다.
우리나라가 일본에 속수무책으로 죽임을 당하고 강산이 짓밟히고,,
끔찍한 상황속에 살아간 수많은 사람중에 한 여인이기에 그랬을까.
큰 줄기에 붙어 있는 잔가지들이 너무나 많고 풍성해서 오히려 보고자
했던 큰 줄기가 묻혀 안보이기에 안타까웠다.
그래도 잊혀져가던 조선의 여인을 다시 세운 그 마음이 고맙다.

 

논개란 여인의 올곧은 심성과 정신, 한사람만을 마음에 품고 함께한
마음들이 모두 어여쁘고,,,서글프리만치 덜 행복한 삶을 산것 같아
내내 가슴이 아팠다.


- 나는 다르다. 누구와도 달라야 한다. 하지만 진정으로 강하여 마침내
다르다는 것은 무엇일까? -
더이상 괴로울 수 없을것 같은 현실 속에서 오히려 힘을 내지 못하고
어린 딸에게 의지하여 가슴아파하는 어미를 보며 그 어린 논개는 얼마나
강해지고 싶었을까. 부모에게 기대어 어리광을 부릴 나이에 오히려 버팀
목이 되어야만 했던,,스스로 강해지고자 마음을 다잡고 다잡았을 논개가
슬프고 어여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