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딩턴의 일식 -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하다 과학자처럼 5
달시 패티슨 지음, 피터 윌리스 그림, 김경연 옮김 / 다봄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대해 혹시
알고 있나요?
문과를 나온 저에게 아인슈타인은
가까이 다가갈 수 없는
그저 멀고도 먼 존재였어요.

에딩턴의 일식은 어려운 물리이론을
에딩턴이라는 영국의 천문학자를 통해
마치 일기처럼 쉽게 설명한 책이에요.
뿐만 아니라 과학자가 되려면
어떠한 증명 절차를 거쳐야 되는지도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서
과학자를 꿈꾸거나 궁금해하는
어린이들에게 많은 것을 알려줘요.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에요.
태양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달에 의해서
가려지고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릴 때를
개기일식이라고 해요.

아이들은 일식과 월식을 많이 헷갈려 해요.
그래서 월식의 개념도 한번 알려 주었어요.
월식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있어서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에요.
일식 월식에 쓰이는 한자 '식'은
'좀먹을 식'으로 즉 사라진다는 의미예요.

그러니 일식은 해가 사라지고
월식은 달이 사라지는 거라고 이해하고
기억해두면 편할 거예요.
에딩턴은 증명하고 싶은 게 있어요.
그것은 바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에요.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주변의 시공간을 휘게 만들어요.
그 결과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이
내뿜는 빛이 지구에 올 때
휘어지게 되는 거랍니다.

그래서 에딩턴은 1919년 5월 29일 개기일식 날
별빛이 휘는 것을 관찰할 계획을 세워요.
개기일식 때는 태양이 달에 완전히 가려지기 때문에
별빛을 찍을 수가 있거든요.
그래서 그들은 영국을 출발해 47일 동안 항해해서
아프리카의 아주 작은 섬 프린시페로 향해요.
우리가 지금 책에서 배우고 있는
과학 이론들이 이렇게 많은 과학자들의
시간과 노력에 의해 쓰였다는 사실이
새삼 놀랍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초등3학년 4학년 필독도서인
에딩턴의 일식을 보지 않았다면
지금 까지도 과학 이론은
실험실이나 연구실에서 쓰인 것이
전부라고 여겼을 것 같아요.

그들은 결국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증명할
별빛 사실을 찍어내고 맙니다.
태양 주위의 별빛은 정말로 휘어져 있었거든요.
개기일식을 찍은 원본 사진을 보니
참 에딩턴과 그의 연구원들이 멋지고
대단하다는 생각이 저절로 들었어요.

​지금 우리가 이렇게 편리하게 살 수 있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누군가가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소리 없이
충실하게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 해서 만들어진 거라고 생각해요.

에딩턴의 일식은 과학이론을
쉽게 설명한 책이기도 하지만
직업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는 직업탐구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만큼 미처 몰랐던 과학자의 활동에 대해서
들여다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어요.
과학자가 궁금하거나 과학자를 꿈꾸는
모든 어린이들에게 에딩턴의 일식을
보라고 자신 있게 추천하고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