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 민음사 모던 클래식 41
다니엘 켈만 지음, 임정희 옮김 / 민음사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늘 소설 속에 있다.

다니엘 켈만, 『명예』

 

삶이 있고, 이야기가 있어. 인간에게 내려진 저주는 이 둘을 잘 구분할 줄 모른다는 거야.

-율리 체, <형사 실프와 평행 우주의 인생들>

 

 

메타픽션이라는 용어가 있다. 메타meta는 ‘넘나들다’라는 뜻으로 메타픽션은 허구를 넘다드는 것을 말한다. 영화나 소설 혹은 만화에서 작품 속 인물이 실제이거나 작품 속에서 구현하고 있는 세계가 작품을 만드는 행위 자체일 때 우리는 그것을 메타픽션적이다, 혹은 메타적이라 말한다. 예를들어 영화에서 영화의 세계를 보여주는 <영화는 영화다>나 <여배우들> 같은 작품이 그것이다. 소설을 예로들면 소설 쓰는 과정을 보여주는 <아랑은 왜>나 <외딴방> 같은 작품들이다. 작품이 창작자의 창작 과정을 반영하는 ‘자기반영적 성격’을 띄고 있는 것이다.

다니엘 켈만의 『명예』도 메타픽션적이라 할 수 있다. 작가는 9개의 에피소드를 통해 소설을 쓰는 행위와 소설이란 무엇일까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에피소드를 하나하나 읽다보면 얼핏 완결성이 떨허지는 여러 단편들을 보는 것 같다. 하지만 인물들과 사건들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서로의 사건은 얽혀있다. 「목소리」에서 에블링이 받은 전화 때문에 「탈출」에서 랄프 탄너가 자신을 자신이 대역하게 되고 결국 집에서 쫓겨난다. 「내가 어떻게 거짓말을 하며 죽어 갔는지」의 사건은 「토론에 글 올리기」의 사건이 일어나는 계기가 된다.

이렇게 뒤죽박죽 섞여들어가는 사건을 보면서 조세희의 ‘난쏘공’과 영화「스트레인저 댄 픽션」 생각나기도 했다. 작가는 소설을 통해 자신이 쓰는 소설에 대해 생각한 것 같다. 현실과 소설의 차이가 무엇인지, 작가는 대체 무엇을 쓰는 사람인지 말이다. 특히 소설 속 ‘레오 리히터’는 작가의 대변인 이다. 작가이고 글을 쓰는 것에 대해 생각하며 단호하게 “우리는 늘 소설 속에 있어.”라고 말하니 말이다.

퍼즐을 맞추는 듯한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