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가족
한요셉 지음, 박지선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외로 이 책을 소설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보면 괜찮다. 만약 이 책이 하와이 한국인 2세의 디아스포라적 에세이로 소개받고 읽었으면 꽤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는 얘기다. 백태우의 이야기를 제외하면 하와이라는 공간에서 생활하는 미국 이민 2세의 생활상이 잘 드러나 있다. 그리고 그곳에서 작가가 생활하면서 느꼈을 이방인으로서의 삶과, 무기력함 같은 것들도 체험할 수 있었다. 마치 한번도 가보지 않은 하와이라는 공간을 묘사와 설명을 통해 접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묘사와 설명만으로 소설이 될 수는 없다. 우리가 장르로써의 소설을 읽는다고 말 할 때는 그것이 상상이든 허구이든 일정한 구조의 이야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그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이루어낸 하나(또는 여럿)의 주제를 결말에 보기 원하는 것이다. 어떤 작가는 현실과 가까운 이야기를 현실성 없게 말하기도 하고, 어떤 작가는 현실과 아주 동떨어져 있는 주제를 가지고 우리의 이야기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소설이라 설명과 묘사 뿐만 아니라 이야기의 흐름이 추동하는 주제 의식 같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보통 이것을 서사라고 하기도 하고 플롯이라고 하기도 하는 것 같다. 여기에 작가의 문체나 생각, 표현 등이 더해져서 그 작품의 고유한 개성을 만든다.


서사이니 플롯이니 하는 얘기를 꺼낸 것은 <핵가족>이 묘사와 설명은 잘 되어 있지만, 그래서 이야기의 방향이 흘러가 결국 말하려고 하는 바가 무엇인지 납득하지 못했다는 말을 하려 함이다.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가 교차되서 진행되면 결국 독자가 바라는 것은 이야기 속에 숨어 있는 이사건의 연결이라든가, 갈등이 폭발하거나 하는 것들이다. 그것이 얽혀져서 또는 따로 떨어져서 진행되다 소설의 끝에서 결국 맞이하는 어떤 순간 말이다. 만일 작가가 소설을 통해 하와이와 한국에 남아 있는 전쟁의 분위기라든가 두 나라에 있는 가족의 이야기를 말하려고 했다면 그것은 실패했다. 하지만 하와이에서 사는 한인 가족 2세의 모습과 한국의 분단을 담아내는 샤머니즘적 상상력을 서사 없이 보여주려 했다면 그건 성공했다. 그래서 여기에 소설이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았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소설의 형편없음을 이야기 하는 것이 디아스포라로서의 작가의 삶에 대해 그리고 한국의 역사에 대해 가치절하 하는 것은 아닐까 잠깐 주저했다. 그렇지만 저간의 사정을 고려하는 것으로 작품을 좋게 평가하는 것이야 말로 작가에 대한 더없는 모욕임을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