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병:맛 2 - 청록, 얼얼하고 질긴
스튜디오 어중간 편집부 지음 / 스튜디오어중간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가 지날수록 겨울을 나는 것이 버겁다. 오랜 시간 나를 좀먹던 피부 상태도 최악으로 치닫고 틈틈이 온수를 들이켜도 계속 체해서 명치의 통증이 잦다. 원인 모를 근육통이 추위에 웅크린 몸 여기저기를 떠도는가 하면 잊을만하면 새끼손가락 마디의 통증이 재발한다.

그래서 한눈에 들어왔는지도 모르겠다. 잡지의 콘셉트가 청년의 투병이라는데 마음이 동하지 않을 리가.

 

책을 받자마자 첫 페이지부터 스르륵 훑었는데 마지막 페이지에 시선이 머물렀다. 독자의 8할은 보지 않을 발행 정보만 간략히 명시되어 있는 페이지 외에 잡지 제작에 참여한 이들을 소개한 추가 페이지가 있다. 잡지의 존재를 접하고 제일 궁금했던 건 이런 주제로 잡지를 만드는 사람들이었는데 그 정답을 확인한 기분이었다. 노고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나 요즘 그야말로 콘텐츠에만 매몰된 잡지들이 적지 않아 점점 멀리했는데 모처럼 사람에 주목하고, 사람 귀한 줄 아는 태도가 엿보이는 잡지는 오랜만이었다.

 

:2호는 일곱 개의 꼭지와 큐리-에이터의 outro로 구성되어 있다. 직업도 삶의 방식도 모두 달랐던 청년들이 있다. 어느 날 병이 찾아오면서 이들은 이전과는 다른 삶을 살거나 지향하게 된다. 이들이 맞이한 전환점엔 투병이란 공통점이 있다. 의식주 해결은 아픈 이에게도 예외가 없다. 투병했던 혹은 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생계를 이어가는지 현실적이고 솔직함이 돋보이는 첫 번째 꼭지가 특히 인상 깊었다. 위암 수술을 받은 편집장이 직장에서의 식사 시간을 염려하는 이야기에 매우 공감했다. 비교가 안 되지만, 만성 소화불량에 시달리면서 작년에 수술도 한 나에게도 식사는 매우 민감한 주제다. 현재 하는 알바의 식사 시간이 30분인데 알바를 최종 할지 말지 고민하게 만든 가장 큰 요소이기도 했다. 아팠다면 그리고 현재도 아프다면 아프기 전과 똑같이 기능하기 어렵다. 명백한 이 명제에 대해 사회는 무관심하다.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청년과 아픔은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여기는 경직된 사회 분위기와 문화를 더욱 실감했다. 아픈 청년들은 실존하나 이들의 특성이 배제된 채 온전히 기능하는(기능할 것을 요구하는) 청년만 기준점으로 삼는 일의 세계는 잔인하다 못해 비윤리적이기까지 하다.

 

내내 잊고 지내다 호되게 아프고 나서야 다시 떠오르는 한 가지 깨달음. 세상에 당연한 것은 정말 극히 드물다. 공감에서 더 나아가 페이지를 넘길수록 얻게 되는 것은 다른 삶의 발견이다. 잡지엔 여러 갈래도 병과 교차하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극복했지만 여전히 병을 의식하는 사람, 여전히 병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 투병인을 곁에서 지켜보는 사람, 끝내 투병인을 떠나보내고 남은 사람의 이야기가 섬세하게 담겨 있다.

결혼한 배우자와 사별한 경우, 남은 이는 법적으로 미혼이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틱으로 인해 일상이 무너지고 고통을 호소하는 이들은 흔히 접했지만, 20년 넘게 틱 증상을 보임에도 이를 이해하는 막역한 친구들이 있고, 그림을 통해 자신의 활동 영역마저 단단히 구축한 청년의 이야기는 생소했지만 반가웠다. 몰랐던 거지 없던 게 아니었구나. 소수지만 분명히 실존하는 이들을 발굴하고, 대안적 삶의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 병:맛은 건강한 사람들(이라 썼지만 아픔에 대한 공감이 낮은 사람들로 좁히고 싶다)에게 먼저 읽혔으면 좋겠다.

 

며칠 전 원인을 알 수 없는 피부 발진으로 낙담하던 때 잡지와 만났다. 투병하는 청년에게 주목한 잡지라니. 과거의 상당 부분을 그리고 공교롭게 지금의 나를 설명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주제가 반가우면서도 그 자체로 너무 아픈 표현이기도 해서 눈가가 시큰해졌다. 맛난 음식 아껴먹듯 조금씩 자주 읽었다. 특유의 통찰과 다정함이 돋보이는 큐-리에이터의 outro를 여러 번 정독했다. 당사자가 아니기에 우리는 타인의 아픔에 온전히 닿을 수는 없지만 그 곁에 머물 수는 있다는 말이 위안이 되었다. 뒤이어 안도감이 찾아왔다. 아픈 누군가의 이야기에 세상에 발신하려는 창구를 알게 된 데에 대한 다행스러움이랄까. 병의 무서움은 통증 외에도 오롯이 당사자만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고독함에 있다. 후속 시리즈가 꾸준히 만들어져서 병의 고독함에 시달리는 이들이 잡지를 읽는 동안만이라도 해방감을 느끼면 좋겠다.

2호 메인 컬러인 청록에 호응하듯 페이지 곳곳에 영월로 추정되는 다양한 녹음이 심겨 있다. 달력을 보니 다음 주에 곧 마지막 절기인 대한이 온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도 한 달이 채 남지 않았다. 다가올 새봄을 기다리며 병:맛과 함께 겨울의 매듭을 잘 지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