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조선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78
김소연 지음 / 비룡소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여기가 세상의 끝이라면 다른 세상의 시작일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책 뒷 표지의 말이 책을 읽고 싶게 만들었다. 나는 평소에 역사에 관해 관심이 많다. 그래서 한국 역사를 다룬 책이나 영화를 많아 보는 편이다. 그래서 이번 굿바이 조선이라는 책도 기대감을 안고 읽어 보았다.

러시아의 비국을 품은 소령 알렉세이, 군인 비빅, 러시아로 귀화한 한국인 니콜라이 김과 마부 근석 4인의 탐사대가 1905년 조선을 탐사하며 격는 이야기이다.

1905년 조선의 모습은 정말 혼란스러웠다. 러시아와 일본이 서로 조선을 차지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외군들은 나라가 혼란한 틈을 타 조선을 가지려고 했고 조선의 백성들은 조선을 지키려고 싸웠으며 조선 내부에도 동학 운동이 발생했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조선인들이 하얀 백조로 불려 졌다는 점이 가장 신기했다.

“하얀 백조란 흰 옷을 즐겨 입고 겁이 많고 노래를 즐기는 코레야인을 부르는 별명이다. 그러나 이 단어는 단순히 그들의 겉모습만을 일컫는 용어가 아니다. 오히려 코레아 인들이 현재 처해있는 상황과 그들의 대처 방식에 대한 풍자라고 할 수 있다. 아름답지만 무기력 하고 조용하지만 슬퍼 보이는 철새의 운명이 곧 코레아의 운명으로 비추어지는 것이다.”

나는 우리 민족이 다른 나라의 정복을 받고 많은 어려움도 있었지만 그 어려움을 이겨낸 호랑이 같이 굳센 민족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입장으로 보았을떄 한없이 여린 하얀 백조라고 비유하다니 나에게 가장 기억에 남은 부분이다.

그 다음으로 나는 알렉세이와 근석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알렉세이는 러시아에서 온 외국 인 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을 생각해 주고 근석 아버지와의 약속도 지키는 모습을 보고 신기했다. 특히 밤에 동학군들이 쳐들어 왔을 때 근석이 사라져 버렸다. 자신의 목숨이 위험한데도 불구하고 알렉세이는 근석의 아버지와 약속한 “근석을 책임지겠다”라는 말을 지켰다. 나라면 혼란한 틈에 근석을 버리고 내 목숨을 지키려고 했을 것 같다.

근석은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백성을 위한 마음이 많고 책임감이 많은 아이이다. 자신이 살아서 돌아올지도 모르고 자신의 목숨이 위태로운데도 책임감있게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고 나도 본받고 싶었다.

전체적으로 쉽고 재미있었고 역사적 배경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다. 굿바이 조선 작가 김소연 작가는 역사 관련 책을 많이 쓰시던데 같은 작가의 다른 책을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