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사춘기 수업 - 사춘기 아이의 정서를 이해하고 학습력을 높여주는
이민서 지음 / 42미디어콘텐츠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교육 전문회사에서 오랫동안 강의와 학습법, 교육 철학관련 전문경력을 쌓은 저자는 다양한 실 상담사례를 가지고 유려하게 글을 써내려갔다. 이 책은 하루하루 마음이 자주 변하는 사춘기 아이가 공부와 정서의 두 줄다리기에서 엄마라는 가장 강력한 지원군이자 부담스러운 존재와 어떻게 경합하고 의존하고 함께 길을 만들어가야하는지 다시금 공부법과 정서이해/관리법의 명확한 방법론과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일상적인 용어가 된 청소년 사춘기와 대립 하면서 조응하는 엄마의 사추기를 언어화하고자 했다는데 있다. 물론 기존의 책들에서 엄마의 공부법, 엄마의 생존, 엄마도 아프다 등등의 언설을 할 수는 있으나 명확한 방법론 제시가 부족했고, 우리나라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가부장제 하의 엄마 역할의 과중이 있었다는 시대적 어젠더가 겹치지 못했던 것과는 달리 그것에 공감하면서 아이와 엄마간 서로간의 정서를 이해하고 서로 성장해가는 모습을 그렸다는데 그 특장점이 있다고 하겠다.

 이 책을 보며 예전 중고등학교 시절 내 모습이 보이기도 했고 공과대학을 마치고 처음 회사 연구소에 입사해서 회사 일을 익히고 연구개발 업무의 히스토리와 방법론을 배워야 했을 때가 기억났다. 다시금 부서를 인사팀으로 옮겨서 어떻게 다시금 업무를 익히고 경제학 석사학위를 했었는가가 기억났다. 지금 문화/인류학 박사를 하는 중에 어떻게 공부를 하고 다시금 어떤 벽에 부딪혔는가 경험이 있어 몸으로 체감이 된다. 공학 - 경제학 - 인류학으로 학문을 바꾸는 어처구니 없는 선택을 왜 나는 하고 있는가, 이 책에서 말한 것처럼 재미있고 잘하는 것으로 점점 옮기려 했던 근자감은 아니었는가 생각해 본다.

 그 근자감의 그나마 근본에는 내가 학습해왔던 경로에서 만난 중요한 사람인 어머니와 아내 그리고 선생님들과 동료들이 있다. 그들과 나는 어떤 관계를 맺어왔었나. 먼저 어머니는 나를 믿어주었다. 물론 공부를 곧잘했었지만 몇 번의 위기 상황에서 나무람이 없었다. 국민학교 2학년 숙제를 못하면 학교를 못갈정도로 겁이 많던 나에게 "융통성이 있어야지, 일단 학교부터 가도록 해"라고 꾸지람 섞인 격려가 있었다. 전학을 가서 3학년 때 처음으로 두자리 등수를 받아본적이 있었는데 그때 아무말 없이 기다려 준건 아니었는가. 국민학교 6학년에서 중학교1학년  때 처음 학원을 다니고 저녁에 피곤해서 초저녁잠을 자고 있으면 놔두셨기도 했다. 중3때 모 학원 과학고 대비 반에 들어갔는데 고2때나 배우는 케플러 법칙과 대입 논술을 하는터에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3일만에 울면서 학원에 못가겠다고 했다. 내 자존심에 수업시간에 이해가 안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학원을 더 이상 가지 않았고 어머니는 허락했다. 물론 고3때 학습량이 급격히 떨어졌을 때쯤 공부를 해야된다는 조언은 있었다. 

 나는 운 좋게 공부를 지겨워하지 않았었다. 필요함과 궁금함이 있었다. 타인에 대한 인정이나 마지못해 했던 적은 없었다. 물론 의무감을 가지고 해야할 일들은 많은데 그 의무를 자주 잊는 단점도 있다. 가방끈의 욕심도 아니었는데 궁금증에 회사다니면서 일과 학업을 병행했었고 회사를 그만두고 여행을 오랜동안 다녀왔는데도 학습하려는 의지가 있었다. 그러나 의지만으로 되지 않는 것이 많았다. 학부 때 예상했던 공부량만큼 하지 못하면 좋은 성적이 나오지 않았고 경제학으로 옮겼을 때는 초반에 용어를 몰라 당황하기도 했으며 지금 박사과정에서는 분위기를 이해하는데도 1년은 할애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큰 관문인 박사 논문에 있어 전전긍긍하고 현재의 학습태도로는 택도 없음이 다시금 느껴진다. 거기에서는 아내가 큰 버팀목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이미지, 장면 사고가 익숙한 나에게 논리적 사고를 잘하는 아내는 학습 방법에 있어 조언자이며 감정적으로 오랜 동안 학습함을 이해해주는 조력자이기도 하다. 

 엄마와 아이, 아이와 엄마, 아이와 주변인, 주변인과 나, 등등의 얽혀진 관계에서 이해와 학습, 성장은 평생의 키워드라고 보여진다. 인간만큼 존재와 관계의 두 축, 역설사이에서 전전긍긍하고 성찰해야하는 생물은 없다. 책 표지처럼 엄마와 아이에 애착과 대결의 넓은 강이나 좁은 실개천은 언제나 흐르고 또한 흘러야만 한다. 독립과 예속의 애매함 속에서 언젠가 서로 당당한 주체로 성장하면서 관계의 소중함은 계속되어야하기 때문이다. 그 당위성을 이해하고 방법론을 학습하는데 의미있는 이정표가 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