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자살 클럽
전봉관 지음 / 살림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 <경성자살클럽> 이라는 제목에서 다소 시대적인 흐름을 타려는 것같은 이미지가 풍기기는 하지만, 책의 내용은 부제에 나온 것처럼 '근대조선을 울린 충격적인 자살사건'들을 다룬 책이다. 근대조선이라면 일제강점기의 기간을 들 수 있는데, 당시의 억압된 사회속에서도 근대로 발돋음하려는 여성들과 그들을 억누르는 봉건적인 관습들이 대립하면서 수많은 자살사건들이 있었는가 보다. 책속의 10가지 이야기중 이전부터 알고 있던 것은 윤심덕의 현해탄 투신사건정도였을까. 그 또한 자세한 내막을 알지 못하고 있긴 했지만, 그 외 나머지 이야기들은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알게 된 사건들이라 새로웠다.

 

.. 책속의 대부분의 주인공들은 여성들이다. 가정형편상 화류계로 몰린 여성들도 있고, 부유한 집안덕에 동경유학을 다녀온 여성들도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신분의 차이라든가 혜택받은 것들이 비교할 수 없을만큼 차이가 나고 있지만, 동경유학을 다녀온 이른바 신여성들이 그만큼 행복했는가 하고 질문을 한다면 쉽게 대답할 수 없을 것 같다. 그리고 또한, 당시 조선의 조혼풍습으로 일찍 결혼해야하는 시기를 지나버린 신여성들은 학교를 졸업하고 나면 벌써 비슷한 또래의 말이 통하는 남자들은 다 기혼자인 아이러니와 직면하게 된다. 그 남자들 또한 어찌보자면 피해자로 집안에서 시킨 결혼을 하였을 뿐이니, 그 남성들과 신여성들이 연애를 하여 스캔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곤 했던 것이다. 이렇게만 보자면 신여성과 구여성이 대립하는 것같겠지만 실상 그 속을 보면 어느쪽도 일방적인 가해자나 피해자가 아니라 둘다 어떤 편에서는 피해자이다. 그럴 수밖에 없도록 만든 사회도 그속에서 갈팡질팡하는 사람도 발전하는 현실도 잘못을 물을 수없는 과도기였던 것이다.

 

.. 물론 그렇다고 해도 이 피해자들을 자살로 몰고간 이들에게 일괄적으로 면죄부를 줄 수만은 없을 것 같다. 기본적으로 도의가 없는 사람들도 있었고, 이해할 수 없는 상황들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람이 사람에게 나쁜 짓을 할 때는 꼭 상대를 해치겠다는 의도가 있어서만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약하기 때문에 상황을 통제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게 되는 경우들이 있다. 어떻게 보자면 강하지 못하다는 것 자체가 선과 악 중의 악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의도하지 않은 일들이 생기게 되고 괴로워하는 이들이 생긴다. 그런 여러 생각들을 하면서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 쉽게 책장을 넘길 수 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