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신정근 교수의 동양고전이 뭐길래? - 한 권으로 시작하는 동양고전 핵심 명저 25
신정근 지음 / 동아시아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동양고전의 핵심 지침서

동양고전의 수많은 진리 보석을 꿰어 담은

진리의 서 보았습니다.

동양 고전 그러면 막연히 오래 시간 진리를 담은

정신 중심의 지식서로만 막연히 알고 있었는데

책을 통하여 동양 고전의 담은 논리성과

질서 정연한 체계에 대하여

팔경과 오서 그리고 십이자라는 체계로서 구성되어 있고

각기 고전들을 한 문장 함축 요약하고

현대의 정서로서 재정리해 놓은 진리서 말입니다.

 

책을 일다 보니 아무리 구구 절절 많은

진리의 내용도 한 문장으로 정리하고 다시

그 핵심사상을 현대의 감각에 맞추어 풀어

가슴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저서 말입니다.

 

동양 고전은 과거의 오래된 이야기만 담고 있었던 것이 아니

현재 우리와 함께 살아 숨쉬는

인간의 본연의 모습의 틀을 담고 있다는 것을

다시금 인식하게 되었고.

현대를 살아가는 이들의 갈 길을 안내해주는

이정표 같은 책이라고나 할까요.

동서양의 기본적인 인간 체계의 본성까지 파헤쳐

우리에게 더 넓은 선택의 기회를 볼 수 있는

지혜의 서가 아닐까 하내요.

첫장 주역 에서는

자강불식과 자력구원으로

인간이 완전성을 바탕으로 수양을 통해

인간적인 단점과 세속적인 욕망으 굴레로부터

자유로워 질수 있는 지혜로서

문익전의

자기 주도적 존재는 경외감으로

자신의 내면을 곧게 하고 도의감으로

자신의 외면을 네모 받 듯하게 한다.“

자력구원임을 깨닫게 해주었고

마지막장 추연에서는

역사의 분활(시간)과 제3차 천지개벽(공간)의 장으로

음양오행의 지속적인 변화의 사이클 상생과 상극을 통하여

삶의 순환을 예측할 수 있는 지혜로서

우리내도 결국 대자연의 순환에 의해 살아간다는 진리를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삶의 부피는 자신의 그릇 크기만큼 살아가는 것을 각인 시켜주고

내 삶의 그릇을 성숙시켜 참 나를 돌아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을 품은 자 좌로 굴러! 우로 굴러!
김명환 지음 / 시그널북스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희망을 품은자 좌로 굴러 우로 굴러

 

청춘의 희망 성취법을 읽었습니다.

젊은 날에 열정하나만 가지고 더 큰 세상을 만드는 법에 대하여

실천적인 교본입니다.

오랜 해병대 생활을 한 저자의 살아온 역경과 그 어려움을 헤쳐 나온

역경의 과정을 보았습니다.

 

인생에 예정된 시간표가 없듯이 살아간다는 것은

수많은 실행착오 끝에 행복을 찾아 간다는 진리에 이야기 말입니다.

물은 스스로 길을 만들어 가는 진리를 책을 읽는 내내

오랜 해병대 생활을 한 저자로서는 끊임없는 독서와 사색 그리고

분석을 통하여 만든 살아있는 진리의 이야기를 담은 소중한 책입니다.

마치 오랜 된 고전들의 이야기를 현대의 우리 정서로 재해석한

실천한 실천서 라고나 할까요.

물은 스스로의 길은 낸다.” 와 같은 글 등에서는

변화의 시대에 오래 됐지만 늘 새로운 화두를 가슴에 다시금

가슴에 담을 수 있어 행복했습니다.

게으름이 때로는 선물을 준다에서는

내가 늘 궁금해 했던 책과 인터넷에 대한 정의

책과 인터넷은 둘다 정신적인 도구이다 하지만

이들이 촉진하는 사고의 종류는 완전히 다르다.

기능적인 측면의 접근으로 ....

책은 독자에게 주의력을 요구하여 일상속

수많은 산만함으로부터 보호해주고

인터넷은 처음부터 주의력을 흩어지게 해주는 등의 원리까지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진리의 서라 할 수 있다

 

오래 간만에 이 시대를 열정으로 살아온 진실한 이야기와 함게 할 수 있어 행복했습니다. 이젠 이 소중한 정보가 담긴 지혜의 서를 군입대를 앞뒨 아들과 함게 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