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그린 히말라야시다 그림 소설의 첫 만남 2
성석제 지음, 교은 그림 / 창비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그린 히말라야시다 그림-성석제

 

작가명만 보고 고르게 된 소설.

히말라야시다가 뭘 지 궁금해서 검색해 보았다.

시다(cedar)는 삼나무라는 뜻이였고 아는 나무였지만 이름은 몰랐는데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렇게 이름들을 알아가게 되는 즐거움도 좋았다.

 

간장냄새, 즉 가난의 냄새가 나는 백선규는 읍에서 제일 큰 제재소집 고명딸의 그림과 바뀌면서 사생대회의 장원이 된다.

축구를 좋아하던 선규는 운명의 장난처럼 이로 인해 혼자만 재능을 의심하는 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화가가 된다.

 

장원이 된 뒤 눈물을 보이는 선규의 모습이 가장 인상적 이였고 ‘나는 상을 못 받았지만 내가 타고난 행운, 삶 자체가 상이다 싶어’ 라는 여자아이의 말이 기억에 남는다.

 

선규는 아버지의 재능을 물려받아 소질이 있어 결국 화가가 될 운명이라 화가가 된 걸까?

 

장원을 받았다는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여 유명한 화가가 된 걸까?

 

장원이 아니라는 진실을 밝히지 못한 괴로움이 작품에 영향을 주어 성공한 화가가 된 걸까?

 

어떤 이유에서든 작가는 이 소설에서 자의든 타의든 상이라는 형태로 기대나 관심을 받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실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을 하게 되고 더욱 간절해지면 꿈을 이룰 수 있게 된다는 것을 말해주고 싶었던 듯.

 

이 소설을 읽고 나니 영화 은교가 떠올랐다.

그림을 그리신 교은님 이름 때문만은 아닐거다.

세상의 인정을 받는 예술가의 삶이 꼭 행복하지 만은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단편이 묶여 있지 않고 분리된 형태의 책 이여서 사이즈나 두께가 부담 적고 작은 가방에도 들어가고 들고 다니거나 손에 잡고 있고 싶은 마음을 부르는 책 이였다.

좋은 아이디어 같다.

아쉬운 점은 얇은데 7500원이라는 가격이 좀 비싸다는 느낌이 든다.

작가님께는 죄송하지만 많은 청소년들이 읽을 수 있게 권당 3-4천원 정도 면 좋겠다.

38p. 선생님이 쓴 동시를 보면 무슨 뜻인지 잘 알것 같고 참 좋았어. 그런 게 진짜 문학이 아닐까. 잘 모르는 사람도 좋아지게 만드는 게 예술 작품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