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하나의 우리역사
信太一郞 지음, 이종윤 옮김 / 삼국시대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평범한 일본의 교사가 객관적인 눈으로 한국과 일본의 과거를 돌아보고 기록한 역사서... 

또 하나의 우리역사... 제목을 보면 대한민국의 역사에 관한 책인데 저자를 보면 일본인이라 자연스럽게 흥미와 관심이 생겨 읽어보게 된 책입니다. 일본인이 쓴 책이기에 일본에 치우쳐 있을거라는 선입견을 갖기도 했는데 저의 예상과는 전혀 다르게 정말 역사적 사료에 근거하여 중립적으로 서술하고 있어 놀라기도 했고 반가운 마음이 들기도 했습니다. 물론 일본의 양심있는 지식인들은 오래전부터 제대로 된 역사를 말하고 있기는 하지만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 지역은 고대사의 기록이 부족해 자국 위주의 역사관을 중심으로 해석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마찰이 빚어지기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심심하면 한번씩 자기들 땅이라고 우기는 일본의 독도문제와 고구려의 역사와 관련해 한번씩 시끄러운 중국과의 마찰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마찰은 문화와 역사관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기에 어쩔 수 없다고 해도 객관적 사료가 있음에도 우기는 것은 아시아 경제대국으로서 결코 바람직 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양심있는 일본의 지식인들은 독도가 대한민국의 땅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지만 정부차원에서는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아마 끝까지 인정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 책은 고대부터 6.25 직후까지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습니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일본의 역사가 멀게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고 가깝게는 한국의 영향을 받아 나라가 세워졌다는 것을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며 서술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삼국시대의 역사적 기록을 통하여 조금은 알고 있는 내용이기도 한데 고대에는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많은 사람들이 이주했고 자연스럽게 선진 문물을 전수해 주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는 토착민을 지배했다고 하구요... 한두번에 그치지 않고 삼국시대가 끝날 때까지 간헐적이며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일본의 왕가를 비롯한 지배계급의 한 축을 이루었다고도 합니다. 저자는 일본 역사학계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교과서에도 실려 있는 고대 일본의 한반도 남부지방 지배 (임나일본부설)를 의심하면서 일본학자들의 왜곡되고 편협한 역사관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하여 처음 알게 된 임나일본부설은 4세기에 일본의 야마토 정권이 한반도 가야지역에 임나일본부를 설치해서 약 200년 동안 이 지역을 지배했다고 쓰여 있는데 저자는 4세기에는 야마토 정권이 한반도 남부는 커녕 북규슈를 지배하고 있었는지 여부도 의심스럽고 기껏해야 수십 명 밖에 탈 수 없는 손으로 젓는 배밖에 없었던 일본열도에서 2백년 동안 지배를 계속할 정도의 군대를 파견했을리 없다는 의문이 든다고 합니다. 일본과 조선은 개국의 20년 차이로 인해 결국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되었고 조선민의 끊임없는 저항과 투쟁에 겁먹은 일본이 조선은 자력으로 근대화를 이룰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신화를 조작하기에 이르렀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는데 사실이기도 하거니와 개인적으로 동감하는 의견이기에 우리의 역사에 대한 씁쓸함과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깔끔하고 매끄러운 번역 그리고 역사적 사실을 알아감으로 책을 읽는 동안 즐거웠습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책을 읽다보면 중간중간에 한자를 많이 볼 수 있는데 한글 없이 한자만 써놓아 모르는 한자일 경우에는 찾아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불편했습니다. 이로 인해 가독성이 많이 떨어지더군요... 그리고 원본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이 사용되어 있어 눈에 조금 거슬리기도 했습니다. 만약 재판을 찍는다면 한글을 쓴 다음 괄호안에 한자를 넣는게 좋을 것 같고 표현을 조금 가다듬었으면 하는 바램이 생기더군요... 이 책의 저자 시다 이치로는 전문적인 역사학자가 아닌 중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쳤던 교사 출신인데 자신이 어려서 어머니가 재일 한국인과 재혼을 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자료를 모아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분야의 전문가는 아니지만 역사의 이면을 제대로 연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전문가 못지 않은 열정이 역사연구에 있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자처럼 인정할 것은 인정하고 사과할 것은 사과해서 굳게 닫혀있는 마음의 문을 연다면 한일관계에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을텐데라는 생각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