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마늄의 밤
하나무라 만게츠 지음, 양억관 옮김 / 씨엔씨미디어 / 1999년 4월
평점 :
절판


<게르마늄의 밤>은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묘사로 가득차 있습니다. 주인공에게 동정을 허락하는 수녀, 원생에게 오랄섹스를 강요하는 수도원장, 얼굴에 가래침을 맞으며 자위하는 원생 등 도무지 정상이라고 할 수 없는 사람들이 등장합니다.

몇몇 장면은 구역질이 치밀어 오를 만큼 역겹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이 작품에는 독특한 매력이 있습니다. 단순히 말초신경만 자극하는 포르노하고는 조금 다릅니다. 읽기 시작하면 쉽게 놓을 수 없게 만듭니다. 이런 강력한 흡입력은 도대체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요?

<게르마늄의 밤>에서는 놀랍게도 변태에서 종교를 찾습니다. 즉, 정상이 아닌 섹스와 신성한 종교를 천연덕스럽게 비유하고 있습니다. 작가는 사디즘과 메조히즘을 신과 인간의 관계를 만들어주는 기본원리와 같다고 말합니다.

신에 대한 자발적이며 무조건적인 복종에서 종교가 시작되듯 메조히즘도 마찬가지라는 겁니다. 메조키스트란 내가 좋아서 상대방에게 무조건적으로 내 몸을 맡기는 사랍들이니까요. 자발적이고 무조건적인 복종을 즐기는 신이란 어찌보면 사디스트와 같다는 거죠.

또한 벨트나 스타킹, 여자의 속옷, 손톱 등 특정한 물건이나 신체의 일부를 통해 성적 흥분을 느끼는 소위, 페티시즘에 대해서도 한마디 합니다. '자신 이외의 누군가를 미치도록 갈구하면서 그 관계성의 상징이 될 수 있는 물질을 자신의 것으로 삼으려 한다.' 이건 페티시즘에 대한 정확한 해석입니다. 그럴까요? 허나 작가는 이렇게 말합니다. '자신 이외의 누군가를 미친듯이 갈구한다는 것은 어딘지 모르게 종교적인 기도와 닮았다.' 이런...

변태심리와 종교를 동일선상에서 놓고 태연하게 주절대는 작가의 기지가 놀랍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대단히 악마적인 수법이란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이 작품이 더 재미있는건지도 모르겠습니다. 하긴 신께 기도하는 성처녀상(像)의 표정은 놀랍도록 포르노 여배우의 절정의 표정 - 물론 연기겠지만 - 과 닮았으니까요. 소름끼치는 논리입니다.

작가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갑니다. 신의 존재에 대한 맹랑한(?) 결론을 냅니다. 한마디로 신은 '모호하기 때문에 위대하다'는 것입니다. 신의 존재를 증명할 수 없지만 반대로 신의 부재도 증명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일단 신이란 말을 사용하기만 하면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쉽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걸 신의 탓으로 돌릴 수도 있습니다. 말이란 본래 현실을 해석하는 도구지만 현실 그 자체와 종종 헷갈리기도 합니다. 그래서 언어는 강력하고, 언어 속에 숨어있는 신도 강력한 것입니다. 결국 신은 순수언어이자 말씀, 로고스인 것입니다.

하지만 신은 아무래도 좋을 때만 신이고 정작 애타게 찾을 때는 없습니다. 이렇게 모호하기만한 신이 미워 주인공은 말 한마디 않고 거친 폭력을 휘두릅니다. 섹스 속에서 존재감을 찾습니다. 그리고 번뇌를 탐합니다.

신이 정말 존재한다면 의도적으로 죄를 짓고 돌아다니는 내게 제발 벌을 내려달라는 주인공의 고해성사는 신을 찾기 위해 온갖 고행을 선택하는 수도자의 모습을 떠올리게 합니다. 요컨데,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섹스와 폭력에서 현존하는 신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습니다.

내가 싫어한다고 다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게르마늄의 밤'에는 내가 싫어하는 주먹질, 썩은 시체의 냄새, 동성애, 항문성교, 돼지의 교미, 피범벅인 얼굴, 발가락 냄새, 가래침, 이중인격자, 변태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하지만 그 속에는 인정하기 싫지만 솔직한 내 모습이 담겨 있었습니다. 작가는 마지막 한마디 말로 내 마음을 후비고 떠납니다. 악마적인 웃음을 지으면서 말이죠.

'나는 소설을 통해 나의 독자를 건강하게 만들고 싶지 않다. 오히려 우울하게 만들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