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와 시각화.청킹.연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취.목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의 공부에 필요한 smart.
직접 적용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트맛 사탕 사탕의 맛
김소희 지음 / 길벗어린이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세계가 있다. 그 세계 안에는 자신의 취향이 드러나는 색깔, 맛, 향, 소리 등 다양한 감각들이 모여있다. 가장 가까운 짝꿍 또한 자신만의 취향이 확고한 사람이나 누구나가 그 사람의 취향을 알고 존중해준다.

이 책 역시 민트맛 사탕을 좋아하는 작가의 취향이 전적으로 반영되었다. 현실을 도피하고자 하는 마음을 반영하여, 게임 속에 자신이 좋아하는 취향이 담긴 것들을 아이템으로 만들어낸다. 상황이 답답하고 개선되지 않을 때 즐겨먹는 민트맛사탕. 그 사탕을 먹을 때 산소같은 맛이 난다는 감각적 표현은 어쩌면 지금을 벗어나고픈 다양한 사람들의 마음을 대변해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나도 가끔 목캔디나 허브를 먹을 때 목구멍과 코가 뻥 뚫리면서 시원해지는 느낌을 자주 받았지만 산소같은 맛이라고 표현하다니 역시 작가들은 정말 기발한 발상가들인 것 같다.

 특히 가정환경이 독특한 두 소녀들을 주인공으로 한 배경설정은 어쩌면 요즘의 사회를 잘 대변해주는 것 같다.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두 소녀들을 대립해두고 한 친구는 재혼가정을, 한 친구는 한부모 가정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어쩌면 서글프기도 하고 조금은 측은한 마음도 드는 것이 사실인데 충분히 현실에서 가능한 상황이라 그런지 어쩌면 더 아이들의 마음에 공감이 가기도, 그런 힘든 환경에 놓인 아이들이 안타깝기도한 마음이 잔뜩이었다. 

 다행이 두 친구가 게임속에서 만나고 결국은 현실속에서도 서로를 알고 응원하게 되는데 민트맛사탕은 어쩌면 그러한 두 친구를 연결해주는 고리가 되면서 동시에 숨통이 트이게 하는 매개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나는 과연 그런 숨통트이는 무언가를 갖고 있을까? 누구에게라도 민트맛 사탕같은 존재, 친구든 물건이든 장소가 있다면 그 사람은 충분히 심리적 안식처가 있어 행복한 사람이 아닐까 싶다.

무엇보다도 마음이 맞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은 참으로 편안하고 의지할 수 있는 존재를 품고 있는 것이기에 힘든 무언가가 생긴다해도 이겨낼 힘을 갖게 만드는 사실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씨전 - 청나라 혼쭐내고 백성을 위로한 영웅 이야기 너른 생각 우리 고전
박은정 지음, 조정림 그림 / 파란자전거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적 참 재미있게 봤던 책이 박씨전이었던 터라 꼭 한번 읽어보고 싶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어렸을 때 읽었던 기억이 고대로 남아 나의 기억과 추억을 즐겁게 해주었다. 

 특히 신화적인 다양한 요소가 가미되어 있는 부분, 박씨가 허물을 벗고 아름다운 미인으로 변한다든가, 아버지인 박처사가 학을 타고 등장하거나 금강산에 살아 집을 찾아가기가 힘들다거나, 박씨부인이 미래를 내다보는 예지능력을 갖춘다거나 하는 부분들은 나조차도 신기하고 이야기에 몰입되게 하는 부분이었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박씨의 외모만으로 모든 것을 평가하는 남편 이시백과 이득춘의 부인을 통해 사회가 얼마나 외모를 중시하는지, 또한 남녀차별적인 문화를 내포하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신분과 성별로 사람의 능력을 평가하거나 차별하는 사회문화적인 요소는 예나 지금이나 거의 차이가 없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아마도 정당하지 않은 것에 대한 거부감이랄까 그런 것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져내려온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병자호란과 정묘호란이라는 역사적 사실과 박씨라는 허구적인 요소가 결합되어 읽을 거리와 재미를 함께 주니 저학년 아이들이라 할지라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다양한 사회적 풍습과 함께 생각할 거리들을 많이 담고 있어 토의토론 및 사회수업과도 연계지어 이야기해볼 수 있을만한 소재들이 많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