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선생님 다산천자문 2 - 사람의 도리와 사회생활
이덕일 지음, 김혜란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말에서 한자가 차지하는 역할은 가히 크다고 할 수 있다. 한자 공부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었던 신문에서 한자가 사라진 것이 안타깝다. 몇년 전 한자의 한글화로 인해 사라졌던 한자공부에 대한 열의가 요즘 다시 뜨거워진다. 유아들에게도 한자공부를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정약용 선생님께서 이루어 놓은 학문의 업적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대단하다. 이 분이 직접 만드신 천자문이면 중국의 천자문과는 달리 우리가 배우기에 훨씬 쉬웠을 것이다. 200년 전에 만드신 것이란다. 한자에 많은 사자성어처럼 관련있는 4자의 한자를 묶어놓았다. 어린이들을 위한 책으로 엮었지만 성인들이 공부하는데도 충분한 책인 것 같다. 매일 8자씩 소리내어 읽어가며 공부하다보면 다산 선생님의 숨결도 느끼며 한자 박사가 될 것이다. 다른 공부도 마찬가지이지만 유독 한자 공부는 옛 선비들처럼 소리내어 읽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 같다. 고등학교 때 한자를 멋드러지게 크게 쓰시던 선생님이 떠오른다. 기다란 막대기칠판의 한자를 가리키면 우리는 큰 소리로 읽으며 재미를 느꼈었다. 

 마법 천자문으로 한자를 익혔던 큰 아이에게 이 책은 깊이 있는 한자 공부가 되겠다. 한글의 어휘력을 갖춘 고학년들이 배워나가기 좋은 책이다. 한자를 배우며 자연스럽게 한글의 수준이 한층 높아지겠다. 인성과 도덕 교육도 함께 할 수 있으니 일석 삼조인 셈이다. 한자 한나에 두개의 어휘가 소개되어 있어 이해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된다. 아이는 학교에서 재량수업으로 한자를 배우고 있다. 아이와 함께 다산 천자문으로 실력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시간이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