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가 숨어 있는 어린이 문화유산 답사기 2 - 개정판 어린이 인문교양 13
이형권 지음, 김태현 그림 / 청년사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책을 받자 마자 처음부터 읽지 않고 고창 선운사와 변산반도 내소사편을 먼저 읽었다. 두세번은 다녀 온 곳이라 낯익은 곳을 책에서 보니 반가웠다. 요즘 역사유적지나 관광지를 다니면 문화유적 해설사들이 친절하게 설명을 해 주셔서 그야말로 살아있는 체험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하지만 다녀온 두 곳은 해설사 없이 등산겸 해서 다녀온 곳이라 이 책이 주는 해설은 역사공부나 다름이 없다. 유적지에 얽힌 설화를 읽으며 건물 하나하나를 꼼꼼히 살펴보고 그 시대를 상상하며 둘러보면 더 생생한 체험이 될 것이다. 도둑 떼를 깨우쳐 준 검단 선사 이야기며 북두칠성을 따라 여행하는 목수가 못하나 박지 않고 지은 내소사 이야기를 읽으며 내소사 전경을 머리에 떠올려본다. 다시 가서 대웅전과 불상의 모습, 창문살의 문양이며 단청을 아름다운 전설과 함께 감삼할 수 있을 것 같다. 
 

공주와 부여는 몇년 전 역사탐방으로 큰 아이와 다녀온 적이 있다. 그 때의 기억이 새록 새록 솟아난다.
백제의 역사인 공주 무녕왕릉과 공산성을 시작으로 부여, 익산, 논산 관촉사를 둘러보며 안동으로 가서 경주까지 건너간다. 다시 정약용의 유배지이 강진과 구례 금환락지와 운조루, 강원도 강릉 오죽헌과 선교장, 경포대까지의 문화유산을 찾아 떠나게 된다. 가 본 곳은 책을 보며 그 기억을 되살리게 되고 가보지 못한 곳은 기약하게 된다. 재미있는 설화까지 곁들여져 있어 유적지를 기억하기도 쉽다. 조상들의 얼을 생각하며 이 책을 읽고 찾아간다면 문화해설사가 되고도 남음이 있겠다.

올 겨울에는 강진 다산초당에 다녀오고 싶다. 유배지에서의 생활에서 많은 책을 저술했던 정약용선생을 느낄 수있을 것이다. 이 책을 옆구리에 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