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대에 가게를 시작, 했습니다 - 여성 오너 15인의 창업 이야기
다카와 미유 지음, 김희정 옮김 / 에디터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세계 어느 나라든지 간에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꿈을 가져야 한다는 교육을 받는다. 확고한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자신에게 주어진 짧은 그 삶을 알차게 보낼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역사적으로 확인했기 때문이다.
간혹, 도중에 꿈이 바뀌거나 늙어서 자신의 꿈을 찾게 되는 사람들이 있다. 그 사람들 역시 어릴 때부터 교육을 받았지만 살아가면서 조금 늦게, 굽은 길로 빙- 돌아서 자신을 좇아왔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20대에 가게를 시작, 했습니다」의 주인공들은? 돌아왔든, 직선으로 왔든 발견한 꿈을 20대에 이루기 시작한 사람들이다. 그 사람들의 이야기는 전혀 특별할 것이 없다. 한 줄로 축약하자면, ‘자신이 원하던 것이 있었는데 포기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과감히 도전한 사람들의 성공기’ 정도?
지금은 이미 20대를 지나버린 사람들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그들의 이야기에는 공통점이 있다. 역경과 고난이 있을지라도 망설이지 않고 계획하고 실천했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물론, 중간 생략된 과정이 얼마나 길고 길었으랴.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그들은 이루고 싶은 그 순간을 모른 척 지나치지 않았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이고, 도전이 없으면 꿈을 이룰 수 없다는 말을 그들은 머릿속에 새겨놓고 살았던 것처럼 그렇게 행동했다.
하기와라 아즈미씨의 카페 ‘모네’는 그중 탐나는 가게다. 난 아직 내 나이에는 실현할 수 없다는 생각에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면 그때 꼭 카페를 차려야지 하는 생각을 했는데, 아즈미씨는 20대에 경영을 시작하다니. 난 경제적인 이유를 들며 변명거리를 만들고 있지만 그녀들의 간단한 이력을 보면 그녀들도 자신의 밑천이 두둑해서 그 일을 강행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의 사정에 맞게 주변에 융통받기도 하고, 은행권에서 대출받기도 하고.
“할 일이 있으면 잠을 못 자도 아무렇지도 않고, 일을 하든 놀든, 수면시간을 줄여서라도 하는 편이기 때문에요.”
라는 마에오 게이코씨의 말은 열정이 느껴진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위해서는 즐기면서 힘든 줄 모르고 시간을 보내는 것. 그것이 바로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한 첫 번째 단계가 아닌가. 자신의 꿈을 일찍부터 이루고 있는 이 책의 주인공들은 이와 같이 비슷한 말을 하고 있었다.
요새 자아 찾기에 한참 빠져있다. 대학 졸업 시기도 가까워져 오고, 도대체 뭘 해 먹고 살아야 할지, 전공은 살릴 수 있는지, 전공이 정말 나에게 맞는지, 내가 전공을 통해 무엇을 하고 싶은 건지 조금 더 깊게 살펴보지 않으면 더 나이 들어서 후회할 것 같았다. 아직 확실한 대답을 찾은 건 아니지만, 자신의 가게를 가지면서 꿈을 이뤄가는 그들을 보며 한 가지 얻은 깨달음은 있다. 조금 더 나에게 솔직하고, 내가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꾸준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 너무도 당연한 말이지만, 말이 쉽지 행동으로 녹여내는 게 어렵다. 나에게 솔직해 진다는 것, 꾸준한 노력을 한다는 것 그것이 어렵기 때문에 세상에는 자신의 꿈을 접고 사는 사람들이 아직도 너무나 많다. 그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자신의 꿈을 위해 가능한 방법들을 찾아서 밝은 표정으로 힘껏 도약했으면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