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 스트라이크 창비청소년문학 88
구병모 지음 / 창비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책 제목이 내가 읽을 책의 방향을 알려준다는 사실을 크게 깨달았다.

정해진 답은 없다고, 내가 느끼는 그대로가 바로 답이라고.

작가들은 그렇게 글을 쓰는 거라고, 김영하 작가가 말했던 말의 의미도 깨달았다.

눈가리고 책 읽으니 (=책 제목을 모르고 책을 읽으니)

책의 주인공들의 이야기 하나 하나 관찰하게 되고,

그들의 이야기는 그래서 무엇일까 더 깊이 생각하게 된다.

#버드스트라이크

인질, 사막, 날개, 상처, 약속 ....

#한글자사전 의 소설판을 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한글자사전은 한 글자의 의미에 담긴 단어 감성풀이)

#구병모 작가

'위저드 베이커리'를 쓴 작가라니, 책 제목은 들어봤지만, 읽어보지 않은 책이었는데,

버드스트라이크를 읽고 작가님의 필력을 보니 꼭 읽어야지 생각했다.

나는 술술 읽히는 소설책을 좋아한다.

눈으로 읽으며 머리로 상상할 수 있는 소설책을 좋아한다.

버드스트라이크가 딱 그렇다.

영화 필름이 돌아가듯이,

책을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그 이야기가 생생생하게 그려진다.

그래서 잘 읽히고, 그래서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진다.

자신의 삶과 이미 얽혀 버린 또 다른 삶은 더 이상 타인의 것이 아니라고. 그저 여기 있다는 것만으로 마땅히 애정을 가지고 감사하며, 다소 성가신 의무로 여겨지더라도 도리를 저버리지 않는다고. 그로 인해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결과가 잘못되거나 자신의 의도와 달라지더라도 후회하지 않는다고.
- P218

무슨 뜻인지 몰라도 괜찮았다. 이해할 수 없는 소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그대로 몸속에 흘러들어 오는 감각이 중요했다. 그들의 노랫소리는 가사가 아닌 몸짓과 진동으로써 자연과 인간의 내면에 깃든 마법적 감성을 자극했다. 세상에 태어난 존재 자체에 매혹되고 그것을 축하하며 기쁨을 나누는 데 있어서, 반드시 말이 통해야만 하는 건 아님을 저들이 몸으로 보여 주고 있었다. - P1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