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백년 전 악녀일기가 발견되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6
돌프 페르로엔 지음, 이옥용 옮김 / 내인생의책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예쁘지만 차갑고 도도해 보이는 한 소녀의 모습이 눈에 띄는 일기장이 내 손에 쥐어졌다.



소녀의 이름은 마리아.



올해 열 네 살이 된 소녀는 진주 목걸이, 금으로 된 걸쇠가 달린 성경책, 향수, 핸드백, 그리고 아홉 살 남짓의 노예와 채찍 하나를 성대한 생일 파티 날에 선물로 받는다. 뚜껑 덮힌 커다란 은쟁반에 작은 노예가 있었다는 걸 알고 깜짝 놀란 나는 아랑곳 않고 마리아는 그저 채찍이 핸드백에 넣기엔 좀 크다는 것을 아쉬워할 뿐이다.



소녀는 제 나이에 맞게 매우 간결하고 단순한 문장으로 일기를 써 내려가지만 그 간략한 일기 안에는 아무런 죄의식을 갖지 못한 주인들에 의해 하루하루 철저히 유린당하는 노예들의 인권에 대한 엄청난 이야기들이 담겨있다.



단지 열 네 살인 마리아가 노예들에 대해 취하는 못된 행동과 태도를 탓할 수는 없었다. 죄책감을 갖기엔 너무나 자연스럽고도 천연덕스럽게 주변에 만연한 악행이었기에 그녀의 눈에는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깨닫기 힘들었을 테다. 이렇게 그녀를 이해를 하면서도 나는 책의 마지막 장을 읽기 전에 수많은 아동용 만화나 영화에서처럼 주인공인 마리아가 그들을 내버려두세요. 어른들은 정말 나빠요!라며 못된 어른들을 향해 일침을 가해주길 원했지만 결국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그저 내가 헐리우드식 결말과 디즈니식 만화 전개에 익숙해져서 실망하는 것이라고 자조할 뿐이었다.



단 하나의 일기도 심각하지 않게 받아들일 내용은 없었지만 나를 슬프게 하는 것은 마리아의 순진무구하면서도 솔직한 태도였고 더욱 마음 아프게 하는 것이 있다면 이 일기의 내용이 말도 안돼!라고 외칠 일을 말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었다. 마리아가 살던 19세기가 너무나 먼 옛날로 느껴지는 2009년 현재, 수천 수만 가지의 인권 단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엄연히 인종, 국적, 재산 정도, 힘의 강약에 의한 차별과 억압이 존재한다. 다행스러운 점이 있다면 이러한 악행을 적어도 나쁜 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것이고 점차 그 악행을 막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약 나흘 전 10~15분만에 완독한 책이었지만 그 묵직한 메시지에 대한 고찰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고 내가 바라는 것이 있다면 내 자손들의 세대에는 이 책과 조금이라도 비슷한 현실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아 실화를 바탕으로 썼다는 작가의 말이 마냥 거짓말처럼 느껴졌으면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