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항과 창조의 브로맨스 에밀 졸라와 폴 세잔
박홍규 지음 / 틈새의시간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터운 우정으로 역사에 이름을 남긴 사람들을 우리는 여럿 알고 있다. 백아와 종자기가 그러하고 관중과 포숙아가 그러하다. 그리고 여기, 에밀 졸라와 폴 세잔이 있다. 두 사람이 죽마고우였지만 말년에 절연했다는 사실, 그리고 그 이유가 에밀 졸라가 소설 〈작품〉에 세잔의 모습을 투영한 ‘실패한 화가’를 등장시킨 일이라고 세간에는 널리 알려져 있던 모양이다(나는 몰랐다).


하지만 세잔은 그렇게 옹졸한 사람이 아니었다. 사실 두 사람의 우정에 금이 가기 시작한 까닭은, 에밀 졸라의 〈나는 고발한다〉 투서로도 널리 알려진 ‘드레퓌스 사건’이었다. 두 사람의 정치적 입장이 극명히 대립되었기 때문에 둘은 서로를 포용하기보다는 각자의 길을 걷기로 한 것이다. 그 뒤로 두 사람은 각자의 자리에서 예술 활동에 매진했고, 서로를 그리워하기도 했지만 두 번 다시 만나지 않았다고 한다.


진보적이고 세련된 도시의 지식인의 이미지를 가진 에밀 졸라와, 보수적이고 촌스러운 이방인의 이미지를 가진 폴 세잔, 두 사람은 확연히 다른 면이 많지만 닮은 점도 많았다. 어린 시절에는 사회적으로 소외된 처지였지만, 그럼에도 세상에 대한 반항심으로 충만했다. 대학 입시에 실패하는 아픔도 겪었지만 각기 자신의 꿈을 포기하지 않고 서로를 격려하며 버텼던 까닭에는 그러한 반항심이 자리 잡고 있었으리라. 반항심은 창조를 낳았고, 그 근저에는 뜨거운 우정이 있었다.


두 사람의 우정이 겨우 정치적 입장차로 깨졌다는 사실이 의아하지만, 당시 프랑스의 상황을 들여다보면 그렇게 가볍게 치부할 수는 없다. 당시 보불전쟁에서 패배한 프랑스는 혼란스러운 정국을 맞이했고, 민족주의 사상이 고조되어 반유대주의를 탄생시켰다. 그때 유대인 장교 드레퓌스에게 스파이 혐의를 씌운 이 사건으로 프랑스 내에는 극심한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인 대립 관계가 형성되었다. 단순히 ‘정치 성향’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깊고 복잡하다.


결국 두 사람이 만년에 이룩한 예술 세계는 고독으로 완성되었지만, ‘안정과 조화’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묘하게 일치한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우정이자 ‘브로맨스’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널리 알려져 있지만 조금은 생소한 두 사람의 일생과 당대 프랑스의 정치 상황, 예술 경향도 소상히 담고 있어 흥미로웠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