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을 만드는 일 - 윌리엄 모리스 산문선
윌리엄 모리스 지음, 정소영 옮김 / 온다프레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동자들에게 예술을 許하라!!

평범함 일상 생활에서 소박한 아름다움을 구현하고자 했던 월리엄 모리스에게 현대는 난해하고 즐거움이 없는 세상으로 비춰진다. 소박함과 정직함은 사라지고 사치와 낭비로 가득찬 세계에서 소비는 미덕이 되고 절제와 검소는 성장을 저해하는 악이 되었다. 거세지는 자본주의에서 노동은 점점 더 비루해지고, 예술은 현실과 유리된 채로 허공을 떠다닌다.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대신하면서 노동의 신성함은 더이상 의미를 잃어버리고, 노동에서 즐거움은 사라져 버린지 오래다. 노동에서 즐거움이 사라진 현실을 목도하면서 저자는 예술 또한 같이 사라졌다고 본다. 인간이 노동하며 느끼는 즐거움의 표현이, 바로 예술인데, 작금의 현실에서 노동은 더이상 아름다움을 만드는 일이 되지 못한다.

저자는 노동에서 즐거움을 복원하는 것이 바로 아름다움을 만드는 일, 즉 예술을 복원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손에서 출발하여 하나의 완성품을 만들어 내는 작업은 흡사 예술 작품을 창조하는 것과 같다. 어떠한 작은 것이라도 하나의 완성품을 구현하는 일은 즐거움을 만들어 내는 시간이다. 그런 의미에서 수공업자들, 즉 장인이 만들어내는 생산품은 ˝예술과 노동의 합치˝를 보여주는 결과물이다. 하지만 노동의 분업화는 이런 완성품에 대한 실감을 앗아가고 창조에 대한 즐거움도 빼앗아 간다. 저자가 중세 시대 수공업자들을 떠올리면서 다시 예전의 것들, 즉 ‘고대/자연/수공업‘으로 돌아가자고 주장하는 것은 바로 손에 대한 실감을 되찾아 일의 즐거움, 그리고 예술을 다시 복원하자는 데 있다.

그에게 예술은 소박하고 정직하고 정의로운 것이다. 예술의 소박함은 단순하되 장식이 없는 실용적인 의미이다. 허영이 아닌 필요에 의한, 소박하고 단순한 것 , 바로 그런 정신을 구현한 것이 고딕예술이라 그는 생각한다. 사치와 낭비가 넘치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낭비없는 소박한 생산품은 노동에서 즐거움을 발견하는 일이고, 삶에서 정의로움을 구현하는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저자가 칭송하는 고딕예술이 발하던 중세는 아이러니하게도 신을 위해 인간을 소외시키던 시대이기도 하다. 당초의 출발과는 달리 고딕 장르는 점점 신에게 다다르고자 하던 인간의 욕망을 극대화한 형태로 변질되었다. 저자가 이상적으로 그리던 중세는 왕과 귀족들에 의해 민중의 목숨이 좌지우지 당했던 시대이기도, 여성과 아이들, 노예들의 삶이 동물과 다를 바 없는 시대이기도 했다.

​하지만 모리스가 중세에서 찾고자 했던 것은 점점 비천해지고 있는 현대 노동에 대한 안타까움이였다. 최소한의 휴식도 없이, 내일을 저당 잡힌채 고된 노동에 시달리는 작금의 현실에서, 이 문명이 노동자를 얼마나 메마르고 애처로운 존재로 만드는 것에 모리스는 통렬하게 비판한다. 그러면서 노동자들이 어쩔 수 없이 견디는 현재의 삶보다 더 나은 삶에 대한 열망을 어떻게 구체화할지 알지 못하는 현실이 모리스는 안타까울 뿐이다. 비천한 노동에서 예술이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 그것이 밥이 되느냐 비아냥거리는 이들에게 그는 예술이야말로 그들 앞에 합리적이고 충만한 삶에 진정한 이상을 세워주는 것이라 당당히 주장한다. 그는 예술의 감상과 창조, 곧 진정한 기쁨의 향유가 매일의 양식만큼이나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삶, 그냥 싫어서가 아니라면 어느 누구도 어느 집단도 예술을 박탈당하지 않는 그런 삶을, 노동자들에게 돌려줘야 말한다. 그것이 현대 노동이 잃어버린 것들이라고.

사회주의자임을 자처하는 모리스가 꿈꾸는 사회는 모두가 예술가가 되는 사회, 즉 모두가 동등한 조건에서 살고, 낭비 없이 만사를 꾸려가고, 어느 누구에게 해가 되면 곧 모두에게 해가 되는 것이라는 사실을 완전히 의식하는 곳이다. 그리고 그런 사회에서 노동은 누구라도 원하는 노동이 되어야 한다. 일하는 동안, 일하지 않아도 되는 시간을 곧 가질 수 있다는 실감, 우리가 그 휴식을 누리고 있다는 기분이 들 만큼 휴식이 보장되는 삶 말이다. 예술은 그런 노동이 가능한 사회에서 건강하게 탄생하는 것이다. 어느 누구 하나, 노동에서 소외되지 않고 그 안에서 즐거움을 찾게 되는, 그래서 모두가 아름다움을 만드는 일을 하는 세상, 그것이 모리스가 꿈꾸는 사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