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나 볼 수 없는 책 - 귀중본이란 무엇인가
장유승 지음 / 파이돈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물관에 가면 전시된 귀중본들을 보곤 한다. 사실 책의 겉모습만 볼 뿐이지 한 장도 읽을 수 없다. 그때마다 얼마나 귀한 책이기에 박물관에 전시가 되나. 내용이 궁금하고 유리 너머로 쳐다보는 것이 아니라 직접 읽어보고 싶어진다. 그래서 박물관에서 보유 중인 귀 중서들을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서비스를 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하고 있어서 『아무나 볼 수 없는 책』이라는 제목을 보자마자 이건 읽어야 해!라고 생각했다.




우선 귀중본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한다. 국립 중앙도서관은 약 28만 권의 고서를 소장하고 있는데 그중 1%에 해당하는 963종 3,475권이 ‘귀중본’으로 분류되어 있다.

국립 중앙도서관의 귀중 자료 기준의 항목은 12가지인데, 오래된 책이라고 다 귀중본이 되지는 않는다. 기관마다 귀중본의 기준이 다른데 국립 중앙도서관은 조선시대 제17대 효종조 이전(1659년)의 책을 귀중본으로 본다. 거기에 역사적ㆍ예술적ㆍ학술적 가치와 집필자, 보유자가 누구냐에 따라서 귀중본으로 분류되는데, 학술적 가치가 높지 않아도 한 권뿐이거나 소량만 남아있어도 귀중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단어 그대로 보기 드문 책 들이라고 보면 된다.



귀중본들을 접하면서 알게 된 흥미로운 사실은 인쇄술에 대한 내용이다.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발명했음에도 학문 보급이 크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늘 궁금했는데, 책을 읽으면서 그 궁금증을 풀었다.


당연히 목판보다 금속활자가 책의 보급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했는데 그 반대였다. 널리 보급할 책은 목판인쇄를 하고 소량만 필요한 책은 금속활자로 인쇄를 했다.

그리고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책보다 판목을 더 중시했다고 한다. 생각하기에 따라 판목이 있으면 언제든지 책을 찍을 수 있으니 맞는 것 같기도 하고, 판목이 아무리 중요하다 한들 책으로 인쇄되지 않으면 보관 이상의 가치가 있을까도 싶은데, 이런 인식의 차이는 지식이 소수의 전유물이었기 때문에 가능한 생각이었다고 한다.




지식에 대한 인식은 물론. 다양한 책들을 만날 수 있다. 잘 알려진 책들을 포함해 처음 접하는 책들이 많아(귀중본이라 당연하겠지만)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실용서들을 많이 접할 수 있는 것도 흥미로왔다. 학문적 가치만 중요할 것인데 누워서 떠나는 여행을 위한 여행서를 비롯해 외외로 실용서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지식의 다양성도 추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쉽게 접할 수 없어 어려운 책들일 것이라는 선입견도 풀 수 있었고 아무나 볼 수 없는 책이 모두가 볼 수 있는 기회가 다양해지면 좋겠다. 책에서도 언급되어 있듯 아무리 소중한 문화재라도 수장고에만 보관되어 있다면 누가 그 책을 기억하겠는가. 이랗게 다양한 귀중본이 있다는 것부터 시작해 더 많은 사람들이 책의 존재를 알고 찾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