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왜 죽는가 - 사람이 죽어야 할 16가지 이유
이효범 지음 / 렛츠북 / 2020년 9월
평점 :
품절


모든 사람은 죽는다. 죽음은 모두에게 예외 없이 찾아온다. 나 자신도 언젠가는 죽는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죽음으로 향하고 있다. 하지만 나에게는 죽음이 안 올 것처럼 살아간다. 모든 생명은 탄생하고 죽는다. 탄생과 죽음. 탄생의 순간은 기쁨으로 표현되고 죽음의 순간은 슬픔으로 표현된다. 그렇다면 죽음은 슬퍼야만 하는 것인가. 사람은 왜 죽는 것인가. 죽음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죽음을 모른다. 여기 우리가 죽어야 할 이유를 알려주는 책이 있다. 살아야 할 이유를 저술한 책은 많이 보았지만 죽어야 할 이유를 적어 놓은 책은 처음 보았다. 책의 표지에는 책 제목인 '사람은 왜 죽는가'가 빨간 글씨로 써져 있고 죽음을 의미하는 여러 상징적인 그림들이 그려져 있어 시선을 끈다. 적나라하게 표현된 심장 그림부터 죽음을 상징하는 새인 까마귀와 해골까지 누군가가 '죽음을 그림으로 그려 보세요'라고 하면 그릴만한 그림들이 그려져 있다. 이 책의 저자인 이효범 교수님은 미국의 프리스턴 대학교에 연구할 기회를 얻어 낯선 미국생활을 하는 도중 딸과의 대화에서 큰 딸은 죽음의 문제에 대해 물어본다. 이 물음은 저자가 아주 오래 전부터 생각해오던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연구하는 계기가 된다. 저자는 16가지 죽음의 의미를 여러 자료를 통해 정리했다. 이 책을 쓰기 위해 철학서에서부터 과학서, 의학서, 종교서까지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였다고 한다. 이 책은 죽음에 대한 모든 것을 총망라한 죽음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죽어야 하는 이유 16가지다. 각각의 장은 인간이 죽어야 하는 이유를 담고 있다. 죽어야 하는 이유 16가지이자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죽음에 대한 설명이다. 이 책은 다양한 자료를 참고한 만큼 죽음에 대한 여러 사람의 목소리를 담고 있다. 각각의 장에 쓰인 제목은 재밌게도 모두 '죽음'으로 시작한다. 이 책만큼 죽음이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하는 책은 지금까지 없었던 거 같다. 이 책에서 죽음은 더 이상 슬프고 무서운 것이 아니게 된다. 죽음을 더함이나 뺌 없이 있는 그대로 전달한다. 7'죽음은 다른 유기체의 이익이다'에서 인상깊었던 문장이다.

"그러므로 죽음이란 다음 세대를 위해 모든 세대가 바쳐야하는 희생 제물이다."

만약 우리가 죽지 않는 불멸의 삶을 산다면 다음 세대가 등장하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 또한 조상들의 죽음이 없었다면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누군가의 죽음이 있었기에 지금 이 순간 나라는 존재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이다. 죽음은 개체로서 종의 입장에서 볼 때도 이익이다. 물론 나의 존재가 이 세상에서 사라진다고 생각하면 상상하기도 힘들고 슬픈 감정이 몰려오지만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자면 죽음은 모두에게 이익이다. 생각해보면 죽음이 없다면 삶도 없다. 우리는 모두 똑같이 태어나고 죽는다. 게임 속 캐릭터처럼 생명이 여러 개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의 내 삶을 더 소중하게 생각하고 열심히 살아가는 것이다. 나는 곧잘 죽음에 대해 생각한다. 죽음에 대해 생각하다보면 여러 생각이 다 든다. '나는 왜 죽는가', '죽음은 무엇인가.', '사후세계는 있는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끝없이 죽음에 대해 생각한다. 그리고 혼자 내린 결론은 이것이다. 티비 전원을 끄면 티비가 꺼지듯이 죽음도 티비 전원처럼 꺼지는 것이라고 말이다. 나 또한 그럴 것이라고 추측할 뿐 죽음에 대해 알지 못한다. 이 책은 성인, 철학자, 의학자 등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영향을 미친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생각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 놀라운 건 내가 말한 나의 죽음에 대한 생각과 비슷한 생각을 하는 철학자의 생각도 있었다는 것이다. 맨 마지막장에는 책에 참고가 된 자료들을 모아 놓은 각주가 달려있는데 각주의 분량이 꽤나 상당하다. 저자가 죽음에 대해 얼마나 깊이 있게 생각하고 연구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었다. 누구에게나 죽음은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죽음 이후는 생각하려 해도 생각할 수 없기에 우리는 지금 주어진 삶을 후회 없이 살아야 하지 않을까? 책을 덮은 후 죽음에 대한 생각이 더 많아지는 책이었다. 죽음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