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후 박사의 말하기 원칙 - 나만의 말하기 스타일을 찾는 가장 확실한 방법
문성후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급격한 기술의 발전과 디지털화로 인해 생활에 편리함이 늘어났다. 그러면서 간단한 말하기는 자신의 입으로 말하는 것보단, 손가락을 움직여 문자를 보내는 것에 익숙해졌다. , 코로나 감염증이 발병함에 따라 언택트 문화가 널리 퍼지게 되어 비대면에 익숙해지다 보니 말하기 방법에 대해 퇴화되어가는 기분이 든다. 그런 사회 흐름에 발맞추어 말하기에 관한 도서나 학원이 많이 생겨났다. 그것들 중에는 말하기도 스킬이기 때문에 연습하면 실력이 늘어난다는 주먹구구식 방식을 알려주는 것도 있었다. <문성후 박사의 말하기 원칙>은 그런 주먹구구식 말하기 방식을 알려주기 보다는 자신의 스타일을 살려 말하기를 가르쳐준다.

 

저자인 문성후 박사는 어린 시절 왜소한 체격과 남보다 뛰어나지 않은 운동신경을 타고났다고 한다. 하지만, 곧 자신에게 미술에 대한 감각과 다른 또래보다 조금 말하기를 재밌게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는 말하기를 잘하는 것은 미술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한다. 말을 재미있게 하는 사람은 말을 할 때 마치 그림을 그리듯 상황을 그리며 설명한다고 말한다. 실제로 말을 잘 못하는 사람은 스케치도 하지 않고 바로 채색하는 미술 초보 같이 두서없이 말하기 때문에 말에 실수가 많고 자신감이 없다.

 

위에서 말했다시피 말도 스킬이기 때문에 연습이 필요하다. 하지만, 연습이라 하는 것은 발성을 잘하는 단순한 입 풀기에 그치면 안 된다. 자신의 스타일을 찾고, 말할 내용들을 미리 준비해둬야 하는 것이다.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는 것은 간단하다. 사람들이 말하는 스타일을 보면 빠르게 쏘아내듯 말을 하는 사람이 있고, 느릿하지만 진중한 느낌으로 차근차근 설명하는 사람이 있다. 둘 다 말할 내용을 준비하고 말한다면 말을 못한다고 생각할 수 없는 스타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주위에서 말 잘하는 사람을 무조건 따라 하기보다는 자신에게 좀 더 잘 맞는 방식으로 말을 잘 할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

 

말을 준비한다는 것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물줄기처럼 끊이지 않고 끝까지 어떤 구조로 말해야할지 말하기 전에 미리 구상해두는 것이다. 준비를 하지 않고 말을 한다면 우물쭈물한 남이 우습게 생각할 수 있는 말하기가 되는 것이다.

 

많은 말하기 책을 보고 공통적으로 적혀있는 부분은 바로 연습이다. 다만 이 책에서 적혀있듯이 모두가 동일한 말하기 방식을 가질 필요는 없다. 자신에게는 자신만의 방식이 있는 것이다. <문석후 박사의 말하기 방식>은 발성이나 자신감을 가지라는 일반적인 말하기 도서와는 달리 좀 더 말하기의 근본적인 구조적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한 번쯤 읽어 볼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