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드로잉 아이슬란드 - 그림 작가 엄유정의 심심하고 고요한 여행
엄유정 글.그림 / 아트북스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슬란드로 여행가고 싶어하는 애인에게 선물했습니다. 비록 몸은 여전히 한국에 있지만, 엄유정 작가님의 그림과 글을 보니 마음은 이미 아이슬란드에 있는 것처럼 설레고 행복했어요. 언젠가 애인과 함께 아이슬란드에 가게 되면 작가님처럼 그림으로 그곳을 품고 싶습니다. 따스한 책 감사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자 살아가기 - 비혼여성, 임대주택, 민주화 이후의 정동
송제숙 지음, 황성원 옮김 / 동녘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좋은 연구는 연구자의 상심에서 비롯된다. 연구자 자신이 동시대를 살며 살갗으로 느껴왔던 상심을 학술적인 용어로 담아내고 있지만, 그 행간에서 그의 상심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목소리 없는 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자한 연구자의 태도 역시 본받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이크아웃 11
최은영 지음, 손은경 그림 / 미메시스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쇼코의 미소>, 2018년부터 지금까지는 <몫>을 지인들에게 뿌리고 있다. 최은영 작가가 책 속에 담은 사랑과 아픔이, 희망과 슬픔이 그들에게도 전달되었으면 하는 바람과 함께. 나에게 주어진, 우리에게 주어진 몫에 대해서 함께 생각해보자고 슬몃 건내기에 맞춤인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상한 질문, 위험한 생각들 - 세상의 통념을 저격하다
강양구 지음 / 북트리거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대로 질문하고 새롭게 바라보기

수상한 질문위험한 생각들강양구북트리거, 2019



답을 찾을 수 없다면 질문이 틀렸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의 말이다우리는 초중고등학교를 거치며 자연스럽게 질문이 아닌 답을 찾는 교육에 길들여져 왔다이러한 결과중심의 교육은 여러 가지 폐단을 가져왔다내가 발 딛고 있는 세상과 믿고 있는 것에 대해 의심하거나 질문하려 하지 않는다결과만 좋다면 과정이야 어떻든 상관없다고 생각하기에 성적을 올리기 위해돈을 벌기 위해잘 나가기 위해 그 어떤 비리와 범죄도 감수한다.


이 책에서 저자 강양구 기자는 그동안 우리가 질문하지 않았던 것들에 초점을 맞추며 수상한 질문을 던진다지금처럼 투표를 통한 선거가 아닌 추첨이나 제비뽑기로 선거를 하면 어떨까일부일처제는 합리적인 혼인 제도일까? SNS에서 보는 정보들은 과연 믿을만한 정보일까? GMO는 과연 나쁜 것일까평소 생각지도 못한 지점을 훅 치고 들어오는 질문들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들이 잠자던 뇌를 활성화시켜주었다.



역발상의 질문이 가져다준 노벨상


수상한 질문들 속에서 인상적이었던 내용 중 하나는 2018년 노벨 생리학상을 수상한 혼조 다스쿠 교토대 교수에 관한 이야기였다혼조 교수는 인간의 면역 체계에 대해 연구하면서 남들과 다른 질문을 던진다. “T세포 같은 면역세포가 임무를 다하고 나서 어떻게 퇴장할까?” 다른 과학자들이 면역 세포의 대항 메커니즘에 주목할 때혼조 교수는 면역 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 제어장치에 주목했다그 결과, T세포 같은 면역 세포 표면에 있는 ‘PD-1’ 단백질을 발견한다혼조 교수는 이 발견에서 더 나아가 면역 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지 않는 이유와 연결하고자 한다. PD-1 같은 단백질은 면역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데 암의 경우 암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이 PD-1 단백질을 만나면 면역세포가 활동을 중단하는 것을 발견한다따라서 암세포를 억제하기 위해서 이 두 단백질이 만나지 않도록 외부물질을 주입했고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암세포를 억제하는 과정이 한 문단으로 표현될 만큼 간단한 것이었지만혼조 교수 이전의 과학자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접근하지 못했다소크라테스의 말처럼 질문이 틀렸기 때문에 답을 찾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분법을 넘어서


테슬라의 CEO 일런 머스크가 얼마 전 베이징 TV와의 인터뷰에서 도구가 아닌 문제에 대해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한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다는 협박 속에서 요즘 초등학교 아이들 사이에 코딩 교육이 열풍이다일런 머스크의 말에 따르자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코딩을 어떻게 하는지를 배우는 것이 아닌우리가 진정 고민해야할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아마도 다가오는 세기에는 인간뿐만이 아니라 인간을 넘어선 존재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미국의 학자인 도나 해러웨이는 1985년에 사이보그 선언을 발표한다그는 인간(자연)과 기계(인공)의 구분은 우리 몸이 보여 주듯이 그 경계가 허물어졌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모두 사이보그라는 관점을 통해 그녀는 남성/여성백인/비백인서구/비서구인간/동물자연/비자연 등으로 나뉘어진 이분법적 세계와 위계질서를 비판한다이분법적인 사고방식으로는 향후 펼쳐질 미래 세계에 역시 지배/피지배의 구도로밖에 상상하지 못할 것이다따라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는 코딩을 어떻게 하는지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우리와 다른 존재들을 받아들이고 공존할지에 대해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


그러한 의미에서 이 책 <수상한 질문위험한 생각들>은 아주 좋은 가이드북이 되어 준다단순히 질문만 툭던지는 것이 아니라 그 질문의 연장선상에서 겹쳐 읽고 확장해서 읽을 수 있는 단서를 남기기 때문이다각 장의 마지막에는 그 장의 내용과 함께 연결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다른 장을 <겹쳐 읽기>로 소개한다유전자 가위에 대한 이야기는 유전자 변형 먹을거리와 연결되고집단 지성과 관련된 이야기는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와 대안을 생각해보는 꼭지로 연결된다. <확장해서 읽기>는 관련 주제에 대해 깊이 읽게 읽어볼 수 있는 책들을 제시해 저자가 던진 질문이 깊은 사유로 확장될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내가 생각하는 가장 좋은 책은 책을 덮고 난 후 다른 책이 읽고 싶어지는 책이다장바구니에 도나 헤러웨이의 <한 장의 잎사귀처럼>과 율라 비스의 <면역에 관하여>가 담겼다동화 <헨젤과 그레텔>에서 계모의 손에 이끌려 산속으로 들어가면서 다시 집을 찾아올 수 있게 지나온 길에 뿌려둔 빵가루처럼 저자가 곳곳에 뿌려둔 책가루(?)를 더듬으며 새롭게 질문하고뒤집어 바라보는 눈이 더욱 깊어질 수 있기를!



#원탁의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우리 시대의 고전 14
질 들뢰즈 지음, 이찬웅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해하긴 하지만 아래 구매한 분의 리뷰처럼 ‘푸주한‘ 수준은 아니다. 라이프니츠와 바로크를 읽어내는 들뢰즈의 사유가 마치 주름처럼 펼쳐진다. 이찬웅 선생님의 번역이 아니었으면 만나지 못했을텐데... 댓글로나마 감사함을 전합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