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셉의 나귀
김요한 지음 / 플레로마(Pleroma)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6. 7. 29.

<요셉의 나귀> -김요한

여러명의 요셉 중 어떤 요셉의 나귀일까?
제목을 보며 내 머릿 속에 깔린 얕은 지식망으로
뭔가 걸러내려한다.
뭐든 내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로 가져와 연결해야 안심이 되는 연약함..., 또한 내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자동적으로 내보이는 교만함이렸다.

요셉은 우리가 잘 아는 바나바의 본명이다.
소설을 이리 규정해가며 읽는 것은 그것의 개연성을 일갈해버리는 일일지도 모르겠다.

등장하는 성경 속 인물은 바나바와 그의 조카 마가, 마가의 어머니 마리아, 예수님, 나사로와 그의 누이들, 구약의 발람,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 시 호산나를 외치던 군중들과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 전 사역을 목도하며 따라다니던 무리들 등등이다. 그러나 책을 읽는 내내 떠올랐던 인물들은 그 몇배이다. 이 소설의 시공간적 좌표가 예수님 사역의 중간점인 예루살렘 입성 바로 전부터 입성까지의 시공간이기때문이다. 한 줄을 잡아당기면 갈릴리 사역부터 예루살렘 입성 후의 사역까지 고구마줄기처럼 딸려나오니 독자의 머릿속, 마음 속 등장인물이 얼마나 많겠는가!

성경 속 이야기는 의인화된 나귀들의 생각과 이야기로 펼쳐진다.
세상을 겪으며 참주인을 알고 그 길과 때를 기다리며 어린 나귀에게도 참주인과 참다운 삶을 전하는 늙은 나귀, 그 이야기 가운데 등장하는 발람의 나귀, 그리고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에 쓰임받은 어린 나귀, 또 자신의 일과 처지에서 겸손하게 주어진 일을 감당하는 각각의 나귀들.... 그들은 예수님 사역 당시의 목격자, 관찰자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제자들과의 마지막 만찬장소, 또 부활 50일째 성령께서 임하셨던 마가의 다락방을 좀 더 소박하고 친근한 곳으로 그려보게하고, 바울, 바나바와 선교여행을 떠났다 도중하차한 마가의 성장배경을 상상케하며, 성령의 감동으로 마가복음을 썼던 그의 사명과 주님의 마음을 가늠해보게 함도 책을 읽는 내내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이다. 초대교회의 시작과 발전에 중요한 사명을 지녔던 바나바의 마음 속과 일상, 그리고 됨됨이를 나귀와의 관계 속에서 지켜보는 것도 따뜻하고 흐뭇하다.

그래서 나는....
어떤 사명과 모양으로 동행해야 할까....
사모함을 가꾸며 그 분에게 붙어있으면 된다.
그리하면 그가 만드시고 이루실테니까.

그런데 3인칭 작가 시점이면서
제목을 요셉의 나귀로 택한 이유는
어린 나귀의 쓰임까지를 목도한 나귀가
요셉의 나귀 잇도였기 때문일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윤희 2016-08-27 08: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훌륭한 서평, 감사합니다. `요셉의 나귀`발행인인데요,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너무 궁금합니다. 신학을 전공하신건지, 평신도 이신건지...어떤분이신지..너무..궁금해요. 작가가 말했던 이렇게 읽으면 재미있을꺼야~ 했던 모든 부분을 ..읽어내시고 즐기신듯 해요! 공개가 어려우시면 pleroma2016@naver.com으로 메일부탁드립니다!

2016-08-28 20:3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