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 경제로 보는 우리 시대의 키워드
EBS 지식채널ⓔ 지음 / 북하우스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응답하라1988이 많은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그 시대를 살아본 세대가 공감할 내용이 먹혔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10년전, 20년전, 30년전, 50년전, 100년전의 삶은 어땠을까. 내 어릴적만해도 밥을 굶지는 않았다. 열심히 일하던 부모세대는 밥을 굶었다고 한다. 보리고개가 있었다고 한다. 열심히 일하면 잘 살게 될거라 여기며 잘 살아보세를 노래하며 열심히 살았다. 그 꿈이 현실이 되어 지금은 모두가 잘사는 나라가 되었다. 아버지 대통령이 잘해서 딸이 대통령이 되기도 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떤가. 점점 더 살기가 어렵다고 한다. 경제상황이 더 나빠질거라고 예측한다. 특히나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인데 올해초부터 중국 증시가 큰폭으로 하락하며 대외상황이 만만치 않을거란 징조를 보여주는 듯하다. 젊은이들은 온갖 스펙쌓기로 취업의 문을 두들기지만 좀처럼 열리지 않는다. 3D업종은 사람이 없어서 난리란다. 그런데 우리 젊은이들은 왜 그곳에 가지 않는걸까. 월급을 많이 주면 줄서서 갈텐데 그렇지않으니까 취업을 꺼리게 되고 그자리는 외국인들이 차지하는 게 당연한것처럼 받아들여겨졌다.

100년 전 우리는 잘 살았을까. 세계는 어땠을까. 산업혁명으로 공장은 세워지고 산업이 발달할수록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게 되었다. 전보다 잘살게 되었는데 가난한 사람들이 더 늘어나는 거다. 이런 아이러니가 있을까. 시장은 공급과 소비가 균형을 이룰때 안정이 된다. 공급이 소비보다 많으면 가격은 떨어지고 공급이 적으면 가격은 오른다. 그런데 공급이 많고 소비가 뒤따르질 못하면 대량 실업사태를 맡기도 한다. 과거 세계는 식민지 쟁탈전, 제1차, 2차 세계대전을 겪었다.  유럽은 폐허가 되었다. 그런 폐허속에서도 유럽은 경제를 일으켰는데 그 중심에는 경제학자의 영향이 컷다. 그들은 오늘날에도 회자되고 교과서로도 배운다. 아담스미스의 국부론 읽어본적은 없지만 보이지 않는 손이 시장을 지배한다고 배웠다. 그런데 중국도 그렇고 우리나라도 정부가 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보이는 손이 시장에 개입하는 것이다. 그래야 되는 걸까. 그럼 안되는 걸까. 정부가 움직이면 출렁이던 환율이 안정이 되고 시장이 잠잠해지는 것처럼 보인다. 단기적인 처방인지는 몰라도 먹히는 것 같다. 그런데 불안하다. 오죽했으면 자본주의가 죽었다는 소리까지 나올까. 칼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망할거라고 말했지만 지금까지 거뜬이 버텨오고 있고 문제가 있을때마다 보완하면서 지금까지 왔던 것이다.

올해는 어떤 대내외 충격이 우리 경제에 영향을 줄까. 우리나라도 성장하고 싶은데 최대수출국 중국의 상황이 년초부터 녹녹치 않다. 국내적으로는 노동법 관련 5법과 유가하락, 부동산버블, 총선등 어떤 문제가 이슈로 떠올라 경제판을 흔들어댈지 경제가 궁금해진다. 대내외적으로 맞이하게 될 충격을 앞두고 이 시대를 헤쳐나가야 하는데 어떤 경제학자의 말을 따라야 하는 걸까. 주류 경제학자인 케인스학파일까 아니면 비주류 경제학자인 하이에크일까. 칼 마르크스일까. 이 책 <경제 e>에는 우리 시대의 키워드인 경제를 들여다보고 거기에 입각한 경제학자들을 소개하고 그들의 의견을 들어보며 어떻게 경제가 발전하고 변화해가야 하는지 고민해보도록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점점 빈부의 격차가 더 커지는 상황에서 과연 경제학자들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전에는 경제에 관심이 거의 없었다. 보는 눈도 없고 가르쳐주는 곳은 대학뿐이고 그런데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경제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폭이 넓게 열려 있다. 책에서도 배울 수 있고 동영상도 보고 강연도 들을 수 있다. 경제는 어려운게 아니다. 외면한다고 경제에서 자유로울 수도 없다. 경제로 보는 우리 시대의 키워드 <경제 e>는  많은 사람의 사랑과 관심을 받도록 잘 기획되어 있다. 어렵지 않고 도표도 없고 키워드로 우리 시대 경제를 진단하고 대안으로 경제학자들의 견해를 들으면 경제 입문 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