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소년 이숲 청소년 1
김미리 지음, 유헤인 그림, 조성희 원작 / 이숲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중학생 딸아이가 로맨스소설에 빠졌다. 한참 감수성이 예민한 나이에 읽고 싶은 소설이라 신청해보았다. 딸아이는 한참을 읽더니만 헐 "이건 뭐지"란다. 아마도 기대했던 만큼의 로맨스 이야기는 아니란다. 타이타닉 영화처럼 할머니가 겪은 이야기를 펼쳐나가듯이 이 소설의 시작도 순이 할머니의 회상이야기로 시작한다. 주인공 철수의 탄생도 애매모호하고 순이가 이사온 건 그렇다치더라도 박사가 심장마비로 숨지고 난 이후에 무엇을 먹었는지 어떻게 삶이 묘사된 것도 없이 순이와 만난다. 아무 말도 할줄 모르는데 몇가지 말을 가르쳤는데 말은 못해도 잘도 알아듣는다. 함께 있는다고 사랑이 싹트는 것도 아니고 둘 사이에 사랑이 싹 틀만한 겨를도 없는데 방해꾼 지태가 나타나더니 둘 사이에 끼어들어 둘 사이를 어슬렁 거리다가 결국 비극적 종말을 맞이한다. 지태의 계략으로 포악한 늑대처럼 변신한 철수가 늑대처럼 포효하더니 지대를 물어죽인다. 이것으로 철수와 순이의 운명은 더이상 함께 있지 못하게 되었고 그렇게 둘은 아쉽게 헤어지고 만다. 순이와 함께 있으면 잡힐께 뻔한 철수를 보내야하는 순이의 매몰찬 음성과 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 한데 어우러진다. 그렇게 순이가족은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고 순이는 그곳에서 또다른 인연을 만나 사랑하고 자식을 낳고 할머니가 되어 다시 고국땅을 밟는다. 오랜만에 다시 돌아온 그곳에서 철수는 여전히 순이와 헤어졌을때 모습 그대로 거기서 순이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참 애절하다고 하면 애절하다 할 수 있으나 전혀 그렇게 느껴지지가 않았다. 소설은 뭔가 끼어맞추듯 일사천리로 진행된다. 생각할 틈도 긴장할 시간도 주지 않는다. 소재는 신선해서 기대감은 높은데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너무 많은 걸 기대해서일까. 영화도 개봉하는데 책도 어떤 모티브를 제공했을거란 기대감과 표지에 나오는 것처럼 대자연에서 펼쳐지는 순수한 남녀의 사랑을 기대했는지도 모르겠다. 여하튼 영화는 보지 않았으나 송중기를 보기 위해 여인들은 영화관을 향해 갔는지 관객 100만을 돌파했단다. 송중기의 힘은 어디까지 일까. 영화를 보지 않았으니 영화를 말하는 건 천부당 만부당이고 소설은 판타지소설처럼 사랑하는 연인이 늙어가는 모습을 보는 것처럼 안타깝고 아쉽게 마감한다.

순이는 왜 건강해져서는 다시 철수를 찾지 않았을까. 다시 만나는 운명을 두려워했을까. 떠날거면서 왜 말은 못해도 잘알아듣는 철수에게 글도 잘 못읽어 이상하게 발음하는 철수에게 다시 돌아오겠다고 메모를 남기고 기다리라고 했는가. 제대로 배우지 않았는데도 글도 잘읽게 되다니 너무 성급하게 앞서가는 느낌이다. 땅문제 때문에 다시 돌아와서는 그냥 두고 다시 가버린다. 얼마나 철수를 사랑했는지 노래하면서. 하지만 순이는 철수를 사랑했는지도 의문스럽고 그런 철수가 순이를 47년을 한결같이 기다리는 것이 사랑인지도 의문스럽다. 그렇게 소설은 끝나고 현실은 환타지처럼 아쉬움을 뒤로한채 아름답게 마무리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