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스포럼, 자본주의를 버리다 - 포스트 캐피털리즘: 다시 성장이다
매일경제 세계지식포럼 사무국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유럽을 하나로 묶고 하나의 화폐를 쓰며 출발했던 EU(유럽국가연합)는 남부권의 재정위기로 인한 위기를 맞고 있다. 그리스 문제 하나 해결하지 못해서 세계의 주가가 뚝 떨어지고 그 여파가 우리나라에도 미치는 지금이다. 유럽의 불안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이며 세계 경제는 이와 같은 사태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매년 스위스 다보스에서는 이와같은 경제문제를 비롯해 인류에게 미치는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토론을 벌이는 회의가 열리고 있다. 세계의 석학이라고 하는 이들이 모이고 각계의 CEO들이 모여서 토론을 벌이고 해답을 모색하는 장소다. 큼직큼직한 주제들을 다루다보니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것은 당연하다. <다보스 포럼 자본주의를 버리다>에서는 핵심 주제들을 나누고 인터뷰한 내용들을 수록하여 흥미를 더해주고 있다. 유럽이 겪고 있는 경제위기의 해법을 책 제목에서처럼 자본주의에서는 길을 찾을 수 없다고 보는 걸까. 자본주의를 시작했을때 이런 결과를 예측하지 못했다는 말일 것이다. 현대는 글로벌이 대세다. 이익을 위해서라면 대통령이라도 나서서 세일즈를 하는 시대다. 아담스미스가 주창한 자본주의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있지는 않다. 굳이 읽어보지 않더라도 자본주의라고 하는 영향아래 지금까지 살아왔는데 무엇이 문제란 말인가. 이책에도 나오던데 자본주의를 시작할때 가졌던 도덕적 감성과 윤리적 배경이 지금은 찾아볼수 없다는 점이다. 돈이 무엇보다 우선인 시대다. 돈을 벌기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서슴없이 하는 시대다. 무엇이 사람들로 하여금 탐욕을 추구하게 만들었을까. 그렇다고 돈이 많아서 행복하다고 말하나. 오히려 가난하지만 행복해하는 나라는 따로 있다. 많은 돈을 벌었는데 어찌해서 국가부도위기까지 가는 걸까. 사람의 욕심으로만 치부할 문제일까. 이책을 읽게된 계기는 복잡한 경제구조를 이해하고 싶어서다. 경제분야의 석학들을 인터뷰하고 앞으로 나아갈 경제흐름을 짚어보는데 도움을 얻고 싶어서다. 그들은 다보스에서 무슨 말들을 나누었을까. 이책을 읽어가노라면 다양한 주제들을 가지고 토론한 인물들을 만나 인터뷰했기때문에 핵심적인 말들만 실은 느낌이라 깊은 경제상식이 부족한 나로서는 내용을 이해해나가는데 조금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 책 마지막부분에서는 독자들의 이해를 도와주기 위해서 요약본이 실려 있다. 한번본 내용을 한번더 본 느낌이라서인지 다보스가 추구하는 방향을 이해할 수 있었고 이와같은 복잡한 경제문제를 연구하고 이끌어가는 인물들이 있기때문에 발전할 수 있을거란 조심스런 전망을 할 수 있었다. 특히 앞으로 경제를 이끌어갈 주자로 아시아를 소개하는 거라든지 중국이 취하고 있는 국가 전제주의등 아시아에서 배워야할 것들을 소개하고 있으면서도 여전히 주도권이 아시아에 넘어가는 것을 거부하는 정서가 느껴지기도 한다. 에너지와 원자재 천연자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토론을 벌였던 다보스 포럼. 과연 올해 어떤 경제문제가 이슈가 되고 누가 대통령이 되며 무슨 정책을 추진할지 새로운 대안을 맞이할 준비는 되었는지를 묻고 있는 책이다.

잘못된 처방은 오히려 상처만 더 심각하게 만들수 있기에 세계에 내노라하는 인재들이 모여서 자기 생각을 알리고 대안을 모색하는가 보다. 원인을 알고 올바른 처방을 내릴때 혼란은 사라지고 성장이 있을뿐이다. 지금까지 세계화 신자유주의가 주를 이루었다면 이제는 그 흐름이 바뀐다고 하는 것인데 그 흐름을 주도해가고 있는 다보스 포럼에 새해 벽두에 열리는 스위스 다보스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일 것이다. 아무쪼록 경제 전반에 걸쳐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들과 관련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집중적으로 토론하고 있는 곳 다보스에서 날아오게될 내용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지켜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