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여기서 행복할 것 - 아들러가 가르쳐준 행복 제1법칙
기시미 이치로 지음, 박재현 옮김 / 엑스오북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나이에 해야 할 과업들에 쫓겨서 나의 '삶'에 대해서 생각해 보지 못하고 10대와 20대를 보내고 난 후 30대가 되었다. 그때부터 '삶'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나는 왜 행복하지 않은가에서 시작된 그 생각의 시작은 곧 나의 삶에 대한 부정과 불만으로 가득찼고 더이상 이대로 산다는 것은 나를 병들게 할 거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어쩌면 인간이라면 너무나 당연한 행복에 대한 욕구는 추상적이다 못해 막연해서 지금 내가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만큼 미지의 꿈 같은 이미지였다.
그러다 아들러를 만났다. 만났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마음이 힘들던 어느날 '항상 나를 가로막는 나에게' 라는 책을 통해서 아들러 심리학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빠져들었다. 아들러는

과거와 미래를 생각하기 전에 오늘을 살라는 것이다. 이 책의 제목처럼 바로 지금 여기서 행복할 것이라는 정말 당연하지만 실천하지 못했던 행복 실천법이다.
대학교 때 열심히 들었던 프로이트와 융의 심리학은 과거를 이야기한다. 하지만 아들러는 그런것은 그저 과거일 뿐 그 과거를 통해 현재 어떤 모습으로 살 고 있느냐는 본인의 의지와 선택이라고 말한다. 이 아들러의 주장을 바탕으로 저자는 말한다.
"우리는 지금밖에 행복할 수 없습니다. 살아 있어서 좋았다.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 순간은 과거에도 미래에도 존재하지 않지요. 그런 순간에 생은 완성됩니다."
얼마전까지도 베스트샐러에 항상 올라와있던 저자의 다른 책 [미움받을용기]를 이 책과 같이 읽었다. 그 책의 실천편이라고 소개된 것 처럼 좀더 구체화되어 있고 사례도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어쩌다보니 아들러 심리학과 관련된 책을 3권이나 읽게 되었다. 프로이트의 이론에 도취되어 모든 나의 상황을 무의식과 과거에 맞춰보던 때도 있었는데 물론 과거의 그 어떤것이 지금의 나를 만든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런 과거를 내가 어떻게 극복하고 지금 현재를 살 수 있는지는 오로지 나의 몫이다.
그래서 나 역시 지금 여기서 행복하게 살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