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동남아시아사 - 창의적인 수용과 융합의 2천년사
소병국 지음 / 책과함께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책의 영어 제목이 A New History of Southeast Asia란 점에 주목하자. 다분히 머리말에서 언급된 D. G. E. 홀의 A History of South-East Asia(1955)를 의식해서 지은 듯하다. D. G. E. 홀의 책과는 다른 새로운 동남아시아사를 다루겠다는 소병국의 포부가 느껴진다.


그러나 이 책이 알라딘 북펀딩의 광고 문구처럼 동남아시아의 역사를 진지하게 다루고 있는지는 의구심이 든다. 책의 서론에 해당하는 1부는 동남아시아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1부만 보면 책의 성격이 동남아시아의 역사가 아니라 동남아시아에 대한 전반적인 개론서로 보인다. 동남아시아의 역사를 다룬다는 책의 취지와 맞지 않다. 차라리 간략하게 언급된 만달라 체제를 자세히 설명하면서, 만달라 체제가 동북아시아의 조공책봉 체제와 어떻게 다른가를 짚었다면 더욱 알찬 내용이 되었을 것이다.


본격적으로 역사를 다루는 2부로 넘어가면 소병국이 서술하고자 하는 동남아시아의 역사가 무엇인지 갈피를 잡기 어려워진다. 2부는 13세기를 기점으로 동남아시아의 역사를 고대와 고전으로 나누어 18세기까지 다루었는데, 각 부분마다 교역을 먼저 다루고 각 지역의 왕조를 다음에 다루었다. 그 때문에 내용의 흐름이 끊겨, 책의 내용이 난잡해졌다. 또한 이런 배치는 배경지식이 없는 독자의 진입장벽을 높이거나, 관련정보를 흘려 넘기게 만든다. 차라리 2부를 전근대 동남아시아 왕조와 그 사이에 이루어진 교역으로 나누었더라면 글의 전개가 깔끔했을 것이다.


책의 더 큰 문제는 글의 전개나 몇몇 오류보다도 참고문헌이다. 책의 참고문헌에 1차 사료가 없이 다른 사람의 논문과 저작만 있다. 게다가 참고문헌을 소개하는 미주는 본문의 각 항목 마지막 문장 뒤에 달려있어, 본문에서 참고문헌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인용이 되었는지를 알 수 없다. 이는 주석 없이 참고문헌만 밝히는 것과 하나도 다를 것이 없으며, 오히려 있을 필요가 없는 주석이다. 이처럼 참고문헌의 인용이 명확하지 않으면, 본문에 표절이 있다 하더라도 알 수 있는 방도가 없다. 또한 1차 사료는 인용한 연구의 검증과 본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인데, 소병국은 1차 사료 없이 2차 사료만을 활용하였다. 하다못해 동남아시아 각국의 1차 사료를 조금이라도 인용했으면 글의 신뢰도가 올라갔을 것이다.


정말 유감스럽게도, 이 책은 동남아시아의 역사를 깊이 있게 보여주는데 실패했다. 책의 맨 뒤에 실린 펀딩 독자들의 이름은 이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이들의 성원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11개국의 역사를 한꺼번에 다루려다보니 내용이 간략해질 수밖에 없고, 동시에 동남아시아의 어떤 역사를 다룰 것인가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1부가 동남아시아사 개괄이 아니라 동남아시아 개괄인 것이 대표적인 경우다. 또한 참고문헌 인용을 뭉뚱그려 각 항목 뒤에 미주를 단 방식은 역사책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참고문헌의 페이지가 빠진 미주를 온전한 주석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 때문에 수많은 연구 자료를 참고한 소병국의 노력이 빛을 바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금전설
보라기네의 야코부스 지음, 윤기향 옮김 / 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황금전설』. 또 다른 이름은 『황금 성인전』이라는데…… 처음에는 이 책이 '크리스챤다이제스트'에서 나왔다는 사실에 당혹스러웠다. 

이 책의 성격 상, 분명 '성바오로출판사'나 '분도출판사'처럼 가톨릭 계열 출판사에서 출판할 법한데, 엉뚱하게도 개신교 계열의 출판사인 '크리스챤다이제스트'에서 나온 것이다.  

(가톨릭 계열 출판사에서도 도전하지 않은 책을 용감히 번역한 크리스챤다이제스트에게 칭찬의 박수를 보낸다.) 

(어쩌면 가톨릭 계열 출판사에선 찍을 필요가 없었을 공산이 크다. 가톨릭 신자들은 아는 거니까……)

2007년에야 번역이 되었고, 또한 출판사가 종교계열 출판사다 보니 일반 독자들에겐 낯선 책이다. 하지만 이 책은 중세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서이며, 가톨릭 신자가 아닌 자들에겐 가톨릭 성인들의 수많은 일대기를 접하게 하는 귀중한 책이다. 

(중세의 문화를 다루는 강의에서 발표를 하기 위해 이 책을 샀는데, 교수님께서 내 책을 보시고 자기는 프랑스어 번역본으로 가지고 있다고 말씀하셨다. 아마 지금은 한글 번역본도 같이 보시겠지.) 

개신교 신자의 눈으로 보면 비성경적이라고 비판할 부분이 많이 있다. 그야 그럴 수밖에 없다. 이 책은 종교개혁은커녕 십자군 전쟁이 거지반 끝난 직후인 1260년에 완성된 책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13세기 가톨릭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단 점에서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가톨릭 신자들에겐 믿어지지 않겠지만, 『황금전설』에는 무염시태 교리가 존재하지 않으며, 연옥의 모습은 오히려 지옥에 가깝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이 책을 샀다!) 

하지만 『황금전설』을 완전히 이해하기엔 개신교 신자인 내겐 엄청난 장벽이 있다. 이 책의 목차는 교회 절기에 맞춰져 있는데, 13세기와 지금의 시간 차이도 있지만, 가장 큰 것은 개신교인이란 입장 상 가톨릭 성인들의 절기를 하나도 모른단 점이다. 

그 점이 아쉬운데, 비가톨릭 신자를 비롯한 일반인을 위해 어느 성인의 축일이 언제인지 자세한 설명을 해주지 않은 것이 아쉽다. 주석이 달려있긴 하지만, 그냥 읽기에 부담이 가지 않는 일반적인 수준이다. 물론 설명이 자세하게 들어간다면, 1200쪽이 넘어가는 한 권이 아니라 여러 권으로 분책이 되어 버린다. 

(나중에 가톨릭 계열 출판사에서 자세한 해설을 덧붙인 판으로 찍어내길 기대할 수밖에. 지금은 번역본이 나온 것만으로도 감지덕지다.) 

빛바랜 고전이라 치부하기 전에, 한 번이라도 책장을 넘겨보길 바란다. 중세 가톨릭을 들여다보고 싶은 사람, 가톨릭과 개신교의 차이를 넘으려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또한 넘겨도 넘겨도 끝이 안 보이는 분량과, 여백을 최소화한 빡빡한 편집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도 추천한다.)  

사족 : 과제를 위해 책을 읽다가 흥미로운 부분을 발견했다. 인도의 성인 요사밧의 성장과정은 석가모니와 놀랄만큼 같으며, 광야의 은자가 요사밧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에 탈무드와 『불설비유경(佛說譬喩經)』의 안수정등도(岸樹井藤圖)가 '정확하게(!)' 언급된다. 

또한 『황금전설』은 이슬람교를 네스토리우스파의 영향을 받은 이단이라고 설명했다. 십자군전쟁으로 전 유럽이 이슬람 세계와 직접적으로 마주하게 되면서, 이슬람교와 가톨릭의 유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방편이 아닌가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야나! 2023-09-09 02: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새 번역판이 가톨릭에서 출간되었습니다. 23년8월22일.

새벽이슬 2024-12-25 10:23   좋아요 0 | URL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꼭 읽어야겠군요.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