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 17명의 대표 인문학자가 꾸려낸 새로운 삶의 프레임
백성호 지음, 권혁재 사진 / 판미동 / 2014년 8월
평점 :
17명의 대표 인문학자가 꾸려낸 새로운 삶의 프레임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출판사 : 판미동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오늘도 SNS에 접속한다.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말하는듯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여전히 '행복'에 목말라한다.
과연 행복이란 무엇일까? 번듯한 직장, 예쁜 애인, 물질적 풍요 이런 것이 충족되면 행복할까? 앞에서 언급한 것들을 모두가 가질 수는 없다. 이렇게 말해보니 내가 생각하는 행복은 무언가를 '소유'하는 것인가? 그건 아닌 것 같다. 생각은 다시 행복이란 무엇인가?로 돌아간다.
이 책은 작가는 내노라하는 17인의 인문학 고수들을 만나서 인간에 대해 묻고, 삶을 묻고, 행복을 물었다. 이를 통해서 자신만의 행복을 찾는 새로운 시선을 가질 수 있도록 우리에게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책의 저자는 "인문학이라는 건 인간과 학문의 존재론적인 가치와 이유를 제공하는 것이라야 해요"라고 말한다. 저마다 행복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다를 것이다. 때로는 대다수의 사람이 정의하는 행복에 나를 끼워맞추려 하고 그 과정에서 좌절하기도 한다. 남들의 시선에 얽매여서 나 자신을 잃는 것이다. 그런 경우 대부분 행복하지 못하다. 이런 타의에 의해 주어진 불행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나만의 행복을 찾아야만 한다.
<행복이란 무엇인가>가 나는 왜 사는지,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더욱 깊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그 중 나에게 가장 깊은 인상을 준 홍승수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의 생각의 일부를 여기에 옮겨보려 한다.
'당신의 오늘은 우주 역사의 한순간'. 홍승수 교수는 우주라는 거대한 공간 속에서 인간의 삶을 바라본다.
내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는게 행복이고, 힘들어도 사실은 행복하게 재밌게 살았다고 말할 수 있는 홍승수 교수의 말이 <무한동력>이라는 책을 떠오르게 한다. 다들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무한동력, 이것을 만드는 것이 자신의 꿈이므로 계속해서 연구하는 아저씨. 그리고 아저씨가 한 "자네는 꿈이 뭔가?"라는 질문에 대기업 직원이 꿈이라 답하는 취업준비생 장선재.
"어떤 직업을 갖는거... 그게 꿈일 수는 없지 않은가..."
"그럼 회사에 들어가면 자네의 꿈은 이루어지는건가?"
"...그런데 꿈이 밥을 먹여주지 않잖아요..."
"죽기 직전에 못 먹은 밥이 생각나겠는가, 아니면 못 이룬 꿈이 생각나겠는가"
마지막 말에 대답하지 못하는 장선재가 나인듯해서 가슴 한편이 저려왔다. 상처입고 제자리에 멈춰서 방황하는 나와는 달르게 홍승수 교수는 주변에서 말렸는데 하고 싶은 것을 고집부려서 했고, 결국 자신의 뜻을 관철시켰다.
우리는 모두 인생의 흐름 속에 있다. "현실이 절박하니까 다른 생각을 할 여유 따위는 없었던 거죠."라는 말처럼 그 속에 있을 때는 자신에게 닥친 상황과 고통이 어디로 갈지 모른다. 그는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 필요한 두 가지로 의지와 행복을 말한다. 인생의 방향타가 의지라고 한다면, 엔진은 희망이다. 희망은 가만히 있어도 때가 되면 당연히 이루어지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다. 당장 이 시점에서 아무런 보장이 없는 것, 오지 않는 것이라해도 끊임없이 시도하며 기다리는 것이 희망이라는 것이다. 희망과 의지를 가지고 끊임없이 시도하는 것, 이것이 행복한 삶을 찾는 여행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사람들은 새로운 시도를 꺼린다. 낯설어 하고, 두려워한다. 그래서 미루고 미루다가 결국 주어진 상황에 수동적으로 끌려가기도 한다. 자기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원한다면 두려워말고 끊임없이 시도해라. 간절한 의지는 나의 삶을 살만하게 만든다. 우수가 무수한 시행착오 끝에 지구를 낳았듯, 지구 속의 작은 점인 나도 무수한 시행착오 끝에 행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