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가, 욕망을 거세한 조선을 비웃다
임용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평소에도 역사에 관련된 책은 꾸준히 읽어보는 편인데 조선의 역사를 돌이켜서 생각해 볼 때,

개인적으로 가장 아쉬웠던 시대를 꼽는다면 미완의 개혁 정조 시대라고 할 수 있겠다.

역사에서 가정이란 별반 소용이 없는 일이긴 하나 여전히 진한 아쉬움으로 남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만일 정조가 급작스런 죽음을 맞지 않고 그의 개혁이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면

조선 후기 역사는 어떻게 흘러갔을지 자못 궁금해지는 일일 터이다.

 

북벌이 좌절된 효종 시대 이후 우물 안에 갇혀 변화를 거부하던 조선의 사대부들은

숙종, 영조 시대를 거치면서 국왕의 권위에 맞설만큼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하였고,

뒤주 속에 갇혀 죽은 사도세자의 비극도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해석할 수 있겠다.

아버지의 비참한 죽음을 목도한 정조는 왕이 되자마자 규장각과 장용영을 설치하면서

당시 집권세력이었던 노론 사대부들에 맞서 개혁을 시도하지만 결국엔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는

그들의 저항에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른 죽음을 맞게 되는 것이다.

 

정조의 뜻을 받들어 새로운 변화와 새로운 세상을 꿈꿨던 서얼출신 박제가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서 북학을 전파하고 오늘날로 치면 경제발전을 주장하지만

노론 사대부의 저항과 미움으로 결국엔 유배형에 처해지고 만다.

박제가는 함께 규장각에 입성했던 유득공, 이서구, 이덕무 등과 함께

경제를 등한시하고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길 꺼려하며 자신들의 기득권 유지에만 급급했던

당시 노론 사대부들에 맞서 어찌보면 외로운 싸움을 할 수 밖에 없었고

결국에 큰 뜻을 이루지 못하고 녹록치 않은 현실 앞에서 꺾여버리고 만 것이다.  

 

역사라는 것이 아이러니함이 늘 존재하는 바, 당시 현실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던

박제가의 사상은 오히려 현세에 와서 더 큰 조명을 받고 있는 듯하다.

비록 세상을 바꾸진 못했지만 미래를 앞서 내다보고 변화를 준비하고자 했던

그의 북학 사상만큼은 현세에 와서 재평가를 받고 있으며 우리에게 더욱 큰 교훈으로 와 닿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